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저생피리리양추[褚生皮裏裏陽秋] ~ 저소손[褚少孫]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589  
♞저생피리리양추[褚生皮裏裏陽秋] 진(晋) 나라 저부(褚裒), 자는 계야(季野)다. 그가 입으로 남의 잘잘못을 말하지 않으나 맘속으로는 시비(是非)가 분명했다. 환이(桓彝)가 그를 보고 평하여 “계야(季野)는 입으로는 말하지 않으나, 가죽 속에 양추(陽秋)가 있군.” 하였다. 양추는 곧 봄과 가을로 봄에는 상을 주고 가을에는 벌을 주니 시비를 판단하는 기준이 있다는 말이다.
♞저서원자궁수득[著書元自窮愁得] 곤궁하고 근심 걱정이 있을 때 비로소 글을 짓는 것을 말한다. 사기(史記) 평원군우경전찬(平原君虞卿傳贊)에 “우경(虞卿)이 궁수(窮愁)하지 않았다면 글을 지어 후세에 남길 수 없었을 것이다.” 하였다.
♞저서희[狙芧喜] 치할(癡黠)은 어리석음과 교활함을 말하는데, 옛날 송(宋) 나라 저공(狙公)이 여러 원숭이에게 상수리를 아침에 세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고 하자 원숭이들이 성을 내므로, 그러면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고 하니, 원숭이들이 기뻐하였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눈앞에 당장 보이는 차이만 알고 결과가 똑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과 간사한 꾀로 남을 농락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列子 黃帝>
♞저소손[褚少孫] 서한의 문학가이며 사학가이다. 지금의 하남성 우현(禹縣)인 영천(潁川) 출신으로 어렸을 때 지금의 강소성 패현(沛縣)인 패(沛)로 이주하여 살았다. 일찍이 당시의 저명한 유학자 왕식(王式)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원제(元帝)와 성제(成帝) 연간에 박사(博士)로 있었다. 사마천의 사기에 누락된 부분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보찬(補撰)했다. 효무본기(孝武本紀), 삼왕세가(三王世家), 외척세가(外戚世家), 귀책열전(龜策列傳), 일자열전(日者列傳) 및 골계열전(滑稽列傳)을 보찬하거나 부록으로 달았다.
 
 



번호 제     목 조회
4589 순랑[舜廊] ~ 순령향[荀令香] 4615
4588 개과천선[改過遷善] ~ 개관요[蓋寬饒] 4615
4587 획리가[畫鯉歌] ~ 획사[畫沙] 4614
4586 맹견명[孟堅銘] ~ 맹공작[孟公綽] 4612
4585 일악[一鶚] ~ 일야초병각[一夜楚兵却] ~ 일양래복[一陽來復] 4609
4584 진평[陳平] ~ 진평재육균[陳平宰肉均] ~ 진함불출가[陳咸不出家] 4609
4583 향음주례[鄕飮酒禮] ~ 향자식손익[向子識損益] 4601
4582 현노[賢勞] ~ 현담[玄談] 4599
4581 강담[江潭] ~ 강도왕[江都王] 4594
4580 은교[銀橋] ~ 은구철삭[銀鉤鐵索] 4594
4579 현로[賢勞] ~ 현릉[玄陵] 4593
4578 주덕송[酒德頌] ~ 주도기이동[周道旣已東] ~ 주도추[朱桃椎] 4593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