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패합[捭闔] ~ 팽려호[彭蠡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50  
♞패합[捭闔] 개합(開闔)과 같은 말이다. 귀곡자(鬼谷子)에 패합편(捭闔篇)이 있는데, 전국 시대 소진(蘇秦)·장의(張儀)가 스승으로 삼아 패합, 종횡의 술(術)을 배워 유세(遊說)하는 방법으로 삼았다. 개폐(開閉)·억양(抑揚)·허실(虛實) 등을 끝없이 펼쳐나가는 변술론(辯論術)을 말한다.
♞패향[沛鄕] 한 고조(漢高祖)의 고향이 패현(沛縣)이었으므로, 전하여 제왕(帝王)의 고향의 뜻으로 쓰인다.
♞패현[佩絃] 옛날에, 서문표(西門豹)는 성질이 급하여 늘 가죽줄을 차서[佩韋] 스스로 늦추었고, 동안우(董安于)는 성질이 느려 늘 활줄을 차서 스스로 팽팽히 했다 한다.
♞팽갱[彭鏗] 팽조(彭祖). 갱(鏗)은 이름. 신선(神仙)의 이름. 요임금의 신하로서 은나라 말년까지 팔백세 살았다고 한다. 전하여 사람의 장수를 이른다.
♞팽담[彭聃] 옛날에 오래 살았다는 팽조(彭祖)와 노담(老聃)을 지칭한다. 노담은 곧 노자(老子)이다.
♞팽두이숙[烹頭耳熟] 머리를 삶으면 귀까지 삶아진다는 데서, 중요한 것만 해결하면 나머지는 따라서 해결됨을 말한다. 망거목수(網擧目隨).
♞팽려[彭蠡] 호수 이름. 강서성(江西省)에 있는 파양호(鄱陽湖)를 말한다. <書經 禹貢>
♞팽려호[彭蠡湖] 지금의 강서성의 파양호(鄱陽湖)를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273 장중울[張仲蔚] ~ 장지[張摯] ~ 장지화[張志和] 5479
5272 순자강[鶉子江] ~ 순제갱가[舜帝賡歌] 5476
5271 마외[馬嵬] ~ 마외혈오[馬嵬血汚] 5471
5270 주협홀[拄頰笏] ~ 주호은악[周灝殷噩] ~ 주홀간서산[拄笏看西山] 5469
5269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 승납[僧臘] 5461
5268 연분부[年分簿] ~ 연비어약[鳶飛魚躍] ~ 연빙계[淵氷戒] 5454
5267 춘반[春盤] ~ 춘부장[椿[春]府丈] 5452
5266 진맹공[陳孟公] ~ 진맹투할[陳孟投轄] ~ 진목공[秦穆公] 5444
5265 사문[斯文] ~ 사문유취[事文類聚] 5442
5264 주후방[肘後方] ~ 주후혜문[柱後惠文] ~ 주휘[朱暉] 5439
5263 준원전[濬源殿] ~ 준의한재하탑빈[准擬寒齋下榻頻] ~ 준조절충[樽俎折衝] 5408
5262 장원백[壯元柏] ~ 장원정[長源亭] ~ 장위위[張衛尉] 5406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