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팽택공전출[彭澤公田秫] ~ 팽택휴관거[彭澤休官去]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320  
♞팽택공전출[彭澤公田秫] 동진(東晉) 때의 고사(高士) 도잠(陶潛)이 팽택령(彭澤令)이 되었을 때 아전을 시켜 현(縣)의 공전(公田)에 모두 수수를 심도록 하고 말하기를 “내가 항상 술에 취할 수 있으면 족하다.” 하였다. <晉書 隱逸 陶潛傳>
♞팽택금[彭澤琴] 은거(隱居)를 비유한 말. 일찍이 팽택령을 잠시 지낸 바 있는 은사 도잠(陶潛)은 본디 음률(音律)을 알지 못하므로, 줄 없는 거문고 하나만을 두고 술이 거나할 적마다 이것을 어루만지며 뜻을 부쳤다고 한다.
♞팽택노[彭澤老] 팽택 늙은이란 진(晉) 나라 시인 도연명(陶淵明)을 지칭한 말로, 그가 팽택 현령(彭澤縣令)을 지냈기 때문에 이렇게 부르는 것이다.
♞팽택사[彭澤辭] 진(晉) 나라 도연명(陶淵明)이 팽택령(彭澤令)으로 있다가 벼슬에 구속되는 것이 싫어서 그만두고 돌아온 뒤에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지어 자기의 심경을 노래하였다. <晉書 卷九十四 陶潛傳>
♞팽택오주류[彭澤五株柳] 팽택은 진(晉) 나라 도잠(陶潛)을 말하고, 오주 버들은 도잠이 문 앞에 다섯 그루의 버드나무를 심고 호를 오류선생(五柳先生)이라 하고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을 지은 것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 94 陶潛傳>
♞팽택준[彭澤樽] 진(晉) 나라 도잠(陶潛)이 빈한한 생활 속에 술을 무척이나 좋아하였는데, 일찍이 팽택 영(彭澤令)이 되었을 때 공전(公田)에다 전부 기장을 심게 하여 술을 빚기에 편하도록 한 고사가 있다. <宋書 卷93 隱逸列傳 陶潛>
♞팽택휴관거[彭澤休官去] 팽택은 진(晉) 나라 도잠(陶潛)을 말한다. 팽택 영(彭澤令)이 된 지 80여 일만에 독우(督郵)에게 머리를 숙이기 싫어 인끈을 풀고 돌아온 뒤 그 유명한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읊었다. <晉書 卷94>
 
 



번호 제     목 조회
197 양지[兩地] ~ 양지삼천[兩地參天] ~ 양지양능[良知良能] 5312
196 가거식육[駕車食肉] ~ 가거정묘[家居丁卯] ~ 가계야치[家鷄野雉] 5313
195 번간몽[墦間夢] ~ 번군[繁君] 5314
194 적재적소[適材適所] ~ 적제적룡[赤帝赤龍] 5314
193 조위구억손[曹衛久抑損] ~ 조율이시[棗栗梨枾] 5315
192 벽사창[碧紗窓] ~ 벽사홍수[碧紗紅袖] 5316
191 번롱[樊籠] ~ 번복수[翻覆手] 5318
190 백초[白草] ~ 백치성[百雉城] 5319
189 팽택공전출[彭澤公田秫] ~ 팽택휴관거[彭澤休官去] 5321
188 귀인[龜印] ~ 귀장역[歸藏易] ~ 귀전부[歸田賦] 5321
187 장과[莊窠] ~ 장구령[張九齡] 5323
186 장춘[莊椿] ~ 장침대금[長枕大衾] ~ 여대[輿臺] 5325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