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간작[乾鵲] ~ 간재[簡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459  
♞간작[乾鵲] 까치를 말한다. 까치가 울면 길한 일이 많고 흉한 일이 적어서 일명 희작(喜鵲)이라고도 한다.
♞간장[干將] 보검(寶劍) 이름으로, 춘추 시대 오(吳) 나라 간장(干將)이 만들었다는 암수 두 개의 보검 가운데 웅검(雄劍)의 이름이다. 막야검(莫邪劍)과 함께 명검으로 칭해진다. 땅속에 묻혔을 때 그 자기(紫氣)가 북두(北斗)와 견우(牽牛) 사이에 발산되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晉書 卷36 張華傳>
♞간장막야[干將莫耶] 간장(干將)과 막야(莫耶)가 만든 명검. 천하의 명검, 보검의 별칭이다. 오(吳)나라에 간장이라는 대장간의 명장(明匠)이 있었다. 어느 해 나라에서는 그에게 두 자루의 명검을 만들 것을 명령했다. 그는 정선(精選)한 청동을 모아서 주조를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 청동은 3년이 지나도 녹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아내 막야가 머리카락과 손톱을 잘라 노에 넣고 어린 소녀 3백명이 풍구를 불어 청동을 녹여 마침내 명검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그래서 한 자루의 칼에는 간장(干將), 또 다른 한 자루에는 막야(莫耶)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荀子 性惡篇>
♞간장병[肝將病] 한의학(漢醫學)상 눈은 간에 속했기 때문에 간에 병이 들면 눈이 나빠진다는 말에서 온 것이다.
♞간재[簡齋] 진여의(陳與義)의 호. 정강(靖康)의 난 이후에 북송시인(北宋詩人)이 모두 없어지고 오직 간재만이 남았는데, 그 시재가 탁월하고 변화에 능했다 한다. <四庫提要 集別集類三>
 
 



번호 제     목 조회
4817 간고[諫鼓] ~ 간과만촉[干戈蠻觸] 4861
4816 정가식객[鄭家食客] ~ 정강화[靖康禍] 4859
4815 가빈감환졸[家貧甘宦拙] ~ 가생[賈生] 4859
4814 강절[絳節] ~ 강좌명류[江左名流] 4859
4813 이남관기편[二南冠基篇] ~ 이노백고지[狸奴白牯知] ~ 이능송백벽연면[二陵松柏碧連綿] 4859
4812 비인부전[非人不傳] ~ 비입허무장[飛入虛無藏] 4858
4811 거원비[蘧瑗非] ~ 거인[擧人] 4857
4810 숙복[宿福] ~ 숙불환생[熟不還生] 4856
4809 춘년[椿年] ~ 춘대[春臺] 4856
4808 강중[剛中] ~ 강총미환가[江摠未還家] 4855
4807 풍초[豐貂] ~ 풍풍[渢渢] 4854
4806 유사[流沙] ~ 유산[儒酸] ~ 유삽수신매편가[有鍤隨身埋便可] 4853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