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강영과[江盈科] ~ 강유겸전[剛柔兼全]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939  
♞강영과[江盈科] 명(明) 나라 사람으로 자는 진지(進之), 호는 녹라산인(綠蘿山人). 벼슬은 사천제학부사(泗川提學副使)를 지냈고, 저서에는 16종의 소전(小傳)과 정지거시화(靜志居詩話) 16종이 있다.
♞강왕곡렴수[康王谷簾水] 중국 강서(江西) 성자현(星子縣) 서쪽 강왕곡에 염수(簾水)가 있는데 그 물줄기가 발과 같이 바위에 퍼져서 흘러내린다. 육우(陸羽)는 그 물을 천하의 제일이라고 품평하였다.
♞강왕회마수[康王回馬首] 강왕(康王)은 휘종(徽宗)의 아홉째 아들인데, 금(金) 나라 군사가 송 나라에 침입하매 송 나라에서 땅을 베어 주고 화의(和議)를 하려고 하니, 금 나라에서 강왕(康王)을 오라 하였다. 강왕이 처음 갔다가 돌아와서 두 번 가려 하다가 일이 틀린 것을 보고 말을 돌렸다. 금 나라에서 휘종(徽宗)과 흠종(欽宗)을 잡아가니, 강왕이 강남(江南)에 옮겨서 임금이 되었다. 이가 곧 고종(高宗)이다.
♞강요[江珧] 정삼각형 모양의 검은 색 바다 조개이다.
♞강유[姜維] 삼국시대 촉(蜀)의 무장. 천수기(天水冀; 甘肅) 사람. 자(字)는 백약(伯約).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했다. 건흥(建興) 6년 제갈량(諸葛亮)이 북벌군을 일으킬 때 투항하여 크게 신임을 받았다. 제갈량이 죽은 후 촉(蜀)의 군사상 책임자가 되고, 결국 대장군, 다시 녹상서사(錄尙書事)로서 민정에도 관여했다. 그러나 환관의 횡포에 맞섰기 때문에, 수도인 성도(成都)에 들어가지 못했다. 촉(蜀)이 멸망하자 위(魏)에 항복하여 종회(鍾會)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나, 종회가 난을 일으켜 살해되었다.
♞강유[絳帷] 후한(後漢)의 명유(名儒) 마융(馬融)이 늘 높은 마루에 앉아 붉은 사장막[絳紗帳]을 내리고 생도들을 교수했는데, 뒤에 여악(女樂)들이 늘어섰었음을 말한다.
♞강유겸전[剛柔兼全] 굳셈과 부드러움을 모두 갖춤. 곧, 성품이 굳세면서도 부드러움을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61 이유염매[爾惟鹽梅] ~ 이육[二陸] ~ 이윤성지임[伊尹聖之任] 4927
460 진시화중귀[秦時火中歸] ~ 진식위[陳寔位] ~ 진양공자[晉陽公子] 4928
459 일휘[一麾] ~ 일휘출수[一麾出守] 4929
458 자여씨[子與氏] ~ 자여예리[子輿曳履] ~ 자연도태[自然淘汰] 4929
457 백학[白鶴] ~ 백학귀[白鶴歸] 4931
456 단단[團團] ~ 단대[丹臺] 4931
455 이곽선[李郭仙] ~ 이관규천[以管窺天] ~ 이관조몽시[移官早夢尸] 4932
454 계명구폐[鷄鳴狗吠] ~ 계모행료[溪毛行潦] 4933
453 건장[建章] ~ 건즐[巾櫛] 4934
452 예상[霓裳] ~ 예상우의[霓裳羽衣]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4935
451 오불관언[吾不關焉] ~ 오비삼척[吾鼻三尺] ~ 오비토주[烏飛兎走] 4936
450 이로[李老] ~ 이루[離婁] 4937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