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내가[內家] ~ 내각시[內各氏] ~ 내경경[內景經]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303  

[] ‘()’과 통한다. 집어넣다.

내가[內家] 궁인(宮人)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내가[內價] 조선시대 명종(明宗) 때 벼슬을 얻기 위하여 권귀(權貴)들의 아내에게 뇌물을 쓰는 것으로, 권귀 본인에게 직접 뇌물을 쓰는 외가의 대가 되는 말이다.

내가역[來家易] ()의 내지덕(來知德)이 집주(集註)한 주역(周易)이다. <明史 卷二百八十三>

내각시[內各氏] 임금에게 아첨하는 무리를 여자에 비유해 기롱한 말이다. 이희보(李希輔)가 말재주로 비루하게 연산군에게 아첨하여 조계형(曺繼衡)과 더불어 왕의 총애를 받았기 때문에 당시 사람들이 그를 지목하여, 그가 잘 영합하고 완곡하게 따르는 것이 궁첩(宮妾)과 같다는 뜻으로 일컬은 말이다.

내거[內擧] 내거는 일가친척을 천거하여 등용함을 말한다.

내경[內景] 의학상 용어로 음()의 내신(內神), 곧 장부(臟腑)를 가리킨다.

내경[內經] 책 이름인데, 고대의 의서(醫書)로서 황제(黃帝)가 기백(岐伯)과 문답한 소문(素問영추경(靈樞經)을 합하여 내경(內經)이라 한다.

내경[內景]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의 약칭으로 양생법을 기록한 도가의 서책이다. 대도옥신군(大道玉晨君)이 저술하여 위부인(魏夫人)에게 전수하였다는 것으로 23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경경[內景經] 황제내경경(黃帝內景經)의 준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33 이교서[圯橋書] ~ 이구[履龜] ~ 이구동성[異口同聲] 2308
532 내가[內家] ~ 내각시[內各氏] ~ 내경경[內景經] 2304
531 방숙유하양도해[方叔踰河襄蹈海] ~ 방아[放衙] ~ 방애[芳薆] 2303
530 척강조석망[陟岡朝夕望] ~ 척강좌우[陟降左右] ~ 척금인[擲金人] 2302
529 설파[囓破] ~ 설형[雪螢] ~ 설회초무[雪回楚舞] 2301
528 단장무감[湍藏霧歛] ~ 단장원[斷腸猿] ~ 단장중설[壇場重設] 2298
527 용뇌선[龍腦蟬] ~ 용도[龍韜] ~ 용두사미[龍頭蛇尾] 2297
526 노기복력[老驥伏櫪] ~ 노기읍[路岐泣] ~ 노남[魯男] 2295
525 우투성[牛鬪聲] ~ 우판[虞坂] ~ 우혈[禹穴] 2295
524 청묘[淸廟] ~ 청묘슬[淸廟瑟] ~ 청묘현[淸廟絃] 2294
523 철삭은구[鐵索銀鉤] ~ 철석간장[鐵石肝腸] ~ 철숙음수[啜菽飮水] 2291
522 천불란[天拂亂] ~ 천붕지통[天崩之痛] ~ 천산괘궁[天山掛弓] 2288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