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무릉생추초[茂陵生秋草] ~ 무릉선촌[武陵仙村] ~ 무릉소갈객[茂陵消渴客]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51  

♞ 무릉생추초[茂陵生秋草] 무릉(茂陵)은 한 무제(漢武帝)의 능이며, 그가 신선을 구하다가 되지 못하고 죽어서 땅에 묻혔다는 말이다.

♞ 무릉선[武陵船] 진(晋)나라 태강(太康) 연간에 무릉(武陵)의 어부(漁父)가 배를 타고 시내를 따라 올라가다가, 수원(水源)에 이르러 산에 구멍이 뚫린 데로 들어간 즉, 복숭아꽃 속에 촌락이 있었는데, 진(秦)나라 때에 피란하여 들어온 뒤에 5·6백 년 동안 세상과 통하지 않고 살아왔다 한다. 이것이 무릉도원이다. 도연명(陶淵明)이 지은 도화원기(桃花源記)에 있다.

♞ 무릉선촌[武陵仙村] 도연명(陶淵明)의 도화원기(桃花源記)에 나오는 이른바 무릉도원(武陵桃源)으로서 속세와 떨어져 있는 이상적인 별세계(別世界)를 말한다.

♞ 무릉소갈객[茂陵消渴客] 한(漢) 나라 때 문장가 사마상여(司馬相如)를 가리킨다. 사마상여가 일찍이 소갈병이 들어 관직을 사퇴하고 이 무릉현(茂陵縣)에서 살았기 때문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45 채필토홍예[彩筆吐虹蜺] ~ 채호재고진[彩毫才告盡] ~ 채화지[採華芝] 2187
544 사롱[紗籠] ~ 사롱정호[紗籠正護] ~ 사롱호상인[紗籠護像人] 2185
543 왕좌[王佐] ~ 왕준[王濬] ~ 왕진[王振] 2184
542 요야공근궁토궤[遼野空勤躬土簣] ~ 요양[遼陽] ~ 요와증[饒瓦甑] 2184
541 발천진[發天眞] ~ 발하[拔河] ~ 발해군[勃海郡] 2182
540 초객대상강[楚客對湘江] ~ 초객연패[楚客捐佩] ~ 초객풍림제원자[楚客楓林題怨字] 2179
539 초생당[草生塘] ~ 초생옥소[焦生屋燒] ~ 초선두무출[貂蟬兜鍪出] 2178
538 문자[文子] ~ 문자음[文字飮] ~ 문자주[問字酒] 2176
537 우투성[牛鬪聲] ~ 우판[虞坂] ~ 우혈[禹穴] 2176
536 척강조석망[陟岡朝夕望] ~ 척강좌우[陟降左右] ~ 척금인[擲金人] 2174
535 유로[兪盧] ~ 유로수반계[有路須攀桂] ~ 유룡[猶龍] 2171
534 용구[龍龜] ~ 용귀진연구[龍歸晉淵舊] ~ 용기[龍氣] 2168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