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상주[桑洲] ~ 상주유치순[桑疇有雉馴] ~ 상중환[桑中鐶]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07  

♞ 상주[桑洲] 상주는 해 뜨는 부상(扶桑)의 섬이라는 뜻으로, 동해 바다 속의 십주(十洲), 즉 신산(神山)을 가리킨다.

♞ 상주[相州] 후위(後魏) 때 설치한 하남성(河南省)의 한 고을이다.

♞ 상주[霜麈] 흰색 주미. 고라니의 꼬리는 먼지가 잘 떨린다 하여 그 꼬리털로 만든 먼지떨이를 청담(淸談)하던 사람들이 많이 가졌었는데, 뒤에는 불도(佛徒)들도 많이 가지고 다녔다.

♞ 상주상각[商周相角] 상탕(商湯)이 하(夏) 나라를 쳐서 천하를 차지한 일과 주 무왕(周武王)이 상 나라를 쳐서 천하를 차지한 일을 가리킨 말이다.

♞ 상주유치순[桑疇有雉馴] 지방관의 선정을 비유한 말이다. 후한(後漢) 때 노공(魯恭)이 중모령(中牟令)이 되어 선정을 베풀자, 뽕나무 밑에 길들은 꿩이 있는 상서가 있었던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二十五>

♞ 상준[上尊] 제일 좋은 술이다. 상준주(上尊酒).

♞ 상중금환[桑中金鐶] 진(晉) 나라 때 양호(羊祜)가 5세 적에 유모(乳母)에게 자기가 가지고 놀던 금환(金鐶)을 내놓으라고 하므로, 유모가 애당초 그런 것이 없었다고 말하자, 양호가 이웃 이씨(李氏) 집에 있는 뽕나무 속을 더듬어 금환을 찾아내니, 그 주인이 놀라면서 말하기를 “이것은 우리 죽은 아이가 잃어 버린 물건이다.”라고 하여 당시 사람들이 이씨 집 아이가 곧 양호의 전신(前身)이었다고 일컬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 상중지희[桑中之喜] 뽕나무 밭에서의 밀회, 음사(淫事), 간통(姦通). 예법(禮法)에 맞지 않는 남녀간의 결합, 혹은 남의 눈을 피해 즐기는 청춘 남녀간의 사랑놀이를 말한다. 춘추 시대 초(楚) 나라의 굴무신(屈巫臣)이 정(鄭) 나라의 하희(夏姬)에게 뜻을 두고는, 바야흐로 출정(出征)을 할 때 가산(家産)을 모두 수습하여 가지고 가자, 대부(大夫) 신숙궤(申叔跪)가 “이상하도다. 그대는 삼군 출동과 관련된 두려운 임무를 맡고 있는 터에, 또 뽕나무밭에서 여자와 밀회하는 기쁨을 맛보려 하고 있구나[異哉 夫子有三軍之懼 而又有桑中之喜]”라고 비평한 고사가 있다. <左傳 成公 2年>

♞ 상중환[桑中鐶] 진(晋)나라 양호(羊祜)가 5세 때 유모를 시켜 옆 이씨집 담 구멍에서 전생에 가지고 놀던 금환(金環)을 가져오게 했다는 고사가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785 유생사천녀[柳生祠天女] ~ 유생절교[劉生絶交] ~ 유서무릉구[遺書茂陵求] 2607
784 기사[機事] ~ 기사득사[祈死得死] ~ 기사회생[起死回生] 2606
783 상여피염파[相如避廉頗] ~ 상여함궐계[相如銜橛戒] ~ 상영산뢰[顙映山罍] 2606
782 당항[党項] ~ 당화일반고[棠華一半枯] ~ 당희선[唐僖宣] 2603
781 상구씨[爽九氏] ~ 상구어산풍[上九於山風] ~ 상국홍[上國洪] 2603
780 용경[容經] ~ 용광사두전[龍光射斗躔] ~ 용괘[龍掛] 2603
779 대우[帶牛] ~ 대운[岱雲] ~ 대월질섬서[對月嫉蟾蜍] 2601
778 봉황주[鳳凰州] ~ 봉홰조양[鳳噦朝陽] ~ 봉희[封豨] 2601
777 서린[西隣] ~ 서림[書林] ~ 서명[西銘] 2601
776 소경설[蘇卿雪] ~ 소경절[蘇卿節] ~ 소고[召誥] 2601
775 유체[留滯] ~ 유체주남[留滯周南] ~ 유촉[諭蜀] 2601
774 용정[龍庭] ~ 용정점[龍睛點] ~ 용졸존도[用拙存道] 260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