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수사소[數斯疏] ~ 수산[守山] ~ 수산초주상헌황[首山初鑄想軒皇]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477  

수사소[數斯疏] 논어(論語) 이인(里仁)친한 벗에게도 충고를 자주 하면 소원해지는 법이다[朋友 數斯疏]”라고 한 데서 數斯疏를 따왔다.

수사화[水梭花] 물고기의 별칭이다. 중들은 주육(酒肉)을 금하기 때문에 은어(隱語)를 사용하여 이렇게 부른다고 한다.

수산[守山] 수산(守山)은 밀양(密陽)의 영현(領縣)이다.

수산[囚山] 인자요산(仁者樂山)이라는 말과는 달리 오히려 산이 새장처럼 자신을 꼼짝 못하게 만든다는 뜻인데, () 나라 유종원(柳宗元)이 영주(永州)에 귀양가서 수산부(囚山賦)를 지은 뒤로 고달픈 유배 생활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수산부[囚山賦] 문장의 이름인데, () 나라 때 유종원(柳宗元)이 영주(永州)에 폄적(貶謫)되어 있으면서, 자신을 산에 갇힌 신세라 여겨 이 글을 지었다고 한다.

수산유자[囚山柳子] 유자는 당() 나라 때의 문장가 유종원(柳宗元)을 가리킨다. 유종원이 일찍이 예부 원외랑(禮部員外郞)을 지내다가 왕숙문(王叔文)의 당()에 연좌되어 영주 사마(永州司馬)로 폄출당하자 인하여 스스로 산택(山澤) 사이에 방랑했던 것을 말한다.

수산초주상헌황[首山初鑄想軒皇] 헌황(軒皇)은 황제(黃帝) 헌원씨(軒轅氏)를 가리킨다. 그가 수산(首山)에서 동()을 채취하여 3()을 만들었다고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653 요행장원[僥倖壯元] ~ 요협[瑤莢] ~ 요환유이[瑤環瑜珥] 2489
652 부반목[腐蟠木] ~ 부백[浮白] ~ 부복장주[剖腹藏珠] 2487
651 초현객[草玄客] ~ 초현축대[招賢築臺] ~ 초혼초미귀[楚魂招未歸] 2487
650 무심가입백구군[無心可入白鷗群] ~ 무아묘[巫娥廟] ~ 무아지경[無我之境] 2486
649 이용[利用] ~ 이우나포슬[犛牛那捕虱] ~ 이우북당[伊優北堂] 2486
648 보타권[寶唾卷] ~ 보허술[步虛術] ~ 복거부[卜居賦] 2485
647 봉옥[封屋] ~ 봉우진[封于秦] ~ 봉유족[封留足] 2485
646 유안서[庾安西] ~ 유애[遺愛] ~ 유야좌[劉夜坐] 2485
645 익자삼우[益者三友] ~ 익주몽[益州夢] ~ 익퇴조[鷁退潮] 2483
644 성단[城旦] ~ 성도은[成都隱] ~ 성동격서[聲東擊西] 2482
643 창음[菖飮] ~ 창전혈지승[窓前穴紙蠅] ~ 창졸지간[倉卒之間] 2482
642 신번길방[申樊吉方] ~ 신부약[薪斧約] ~ 신비[辛毗] 248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