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용구[龍龜] ~ 용귀진연구[龍歸晉淵舊] ~ 용기[龍氣]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301  

용구[龍龜] 비석을 말한다. 우리나라 풍속에 비석 좌대(坐垈)는 거북 모양으로 새기고 관석(冠石)은 용 모양으로 조각한다.

용궁[龍宮] 사찰의 별칭이다. 용왕이 부처의 설법을 듣기 위하여 바다 속에 큰 전각을 만들었다는 불교의 설화에서 비롯된 것이다. <海龍王經 請佛品說>

용궁[龍宮] 예천군(醴泉郡)의 속현(屬縣)이다.

용귀진연구[龍歸晉淵舊] 임금의 죽음을 비유한 말이다. () 나라 때 뇌환(雷煥)이 용천(龍泉)과 태아(太阿) 두 자루 보검(寶劍)을 풍성현(豐城縣)에서 발굴하여, 하나는 장화(張華)에게 주고 하나는 자기가 가졌었는데, 장화와 뇌환이 모두 죽은 뒤에는 두 자루 보검 또한 연평진(延平津)의 못으로 들어가 두 마리 용이 되어 갔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三十六>

용귀탑리류진골[龍歸塔裏留眞骨] 법주사(法住寺) 뜰에 고려 승 자정(慈淨)의 비와 탑이 있다. 자정은 고려 왕자 출신이다.

용기[容璣] 무곡(舞曲) 이름이다.

용기[龍氣] 용호(龍虎)의 기운이 우러나오는 제왕의 거소라는 뜻으로, 임금을 가리키는 말이다. 삼국 시대 유비(劉備)가 제갈량(諸葛亮)으로 하여금 말릉(秣陵) 즉 건업(建業)을 살펴보게 하였더니, 용과 범이 서려 있는 것과 같은 기운이 뻗쳐 나와 제왕의 터전임을 알았다는 고사가 전한다. <太平御覽 卷156 >

 

 



번호 제     목 조회
533 이교서[圯橋書] ~ 이구[履龜] ~ 이구동성[異口同聲] 2318
532 척강조석망[陟岡朝夕望] ~ 척강좌우[陟降左右] ~ 척금인[擲金人] 2314
531 내가[內家] ~ 내각시[內各氏] ~ 내경경[內景經] 2313
530 방숙유하양도해[方叔踰河襄蹈海] ~ 방아[放衙] ~ 방애[芳薆] 2312
529 용뇌선[龍腦蟬] ~ 용도[龍韜] ~ 용두사미[龍頭蛇尾] 2312
528 단장무감[湍藏霧歛] ~ 단장원[斷腸猿] ~ 단장중설[壇場重設] 2309
527 설파[囓破] ~ 설형[雪螢] ~ 설회초무[雪回楚舞] 2307
526 청묘[淸廟] ~ 청묘슬[淸廟瑟] ~ 청묘현[淸廟絃] 2306
525 청춘치오마[靑春馳五馬] ~ 청출어람[靑出於藍] ~ 청태부[靑苔賦] 2306
524 노기복력[老驥伏櫪] ~ 노기읍[路岐泣] ~ 노남[魯男] 2305
523 창망귀[悵忘歸] ~ 창방[唱榜] ~ 창승조[蒼蠅弔] 2305
522 우투성[牛鬪聲] ~ 우판[虞坂] ~ 우혈[禹穴] 2303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