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이자노노[二子呶呶] ~ 이자문[李子文] ~ 이자현[李資玄]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819  

이자노노[二子呶呶] () 나라 완적(阮籍)이 지은 주덕송(酒德頌)술 먹는 사람이 취해서 모든 것을 파탈하고 누워 있으면 벼슬하는 선비[縉紳處士]와 귀골의 집 젊은 사람[貴介公子]들은 그 취한 사람을 시비하고 비방한다.”고 하였으니, 두 사람이란 그 선비와 젊은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이자릉[李子陵]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이호민(李好閔)의 아들로 연천군(延川君)에 봉해진 이경엄(李景儼)을 가리킨다. 자릉은 그의 자()이다.

이자문[李子文] 자문은 이상질(李尙質)의 자()이다. 인조(仁祖) 10년에, 인조가 사친(私親)을 추숭(追崇)하려 하는 것을 극간(極諫)하다가 종성(鍾城)에 유배되었다.

이자시[李子時] 자시는 이민구(李敏求)의 자이며, 호는 동주(東州)이다. 이수광(李晬光)의 아들이다.

이자어고죽[二子於孤竹] 주 무왕(周武王)이 상() 나라를 치는 것을 간하다가 수양산(首陽山)으로 들어가 굶어 죽은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를 가리킨다.

이자현[李資玄] 고려 시대의 문인. 이자연(李子淵)의 손자이다. 문과 급제하여 대악서 승(大樂署丞)을 지내다가 선종(宣宗) 때 벼슬을 버리고 전국의 명산을 찾아 주람하던 중 춘천의 청평산(淸平山)에 이르러 보현원(普賢院)을 문수원(文殊院)으로 고치고 선학(禪學)에 심취하였다. 고려 예종이 그를 누차 부르자, 그는 나가지 않고 표()를 올려 사양하기를 새의 본성대로 새를 길러서 종고의 걱정이 없게 하시고, 물고기를 관찰하여 물고기를 알아서 강호를 좋아하는 물고기의 본성을 이루게 하소서.[以鳥養鳥 庶無鐘鼓之憂 觀魚知魚 俾遂江湖之性]”라 하고 끝내 은거하여 여생을 마쳤다. <高麗史節要·高峯續集 卷二>

 

 



번호 제     목 조회
4769 의이거[薏苡車] ~ 의이방[薏苡謗] ~ 의이장소골[薏苡長銷骨] 2390
4768 화서국[華胥國]~화서지몽[華胥之夢]~화석[華席]~화석정[花石亭] 2393
4767 천짐저창[淺斟低唱] ~ 천착[穿鑿] ~ 천참[天塹] 2396
4766 초성[楚聲] ~ 초소성지언[楚昭誠知言] ~ 초소유매[楚騷遺梅] 2396
4765 성철욕승부[聖哲欲乘桴] ~ 성충[成忠] ~ 성취초[醒醉草] 2398
4764 나타제호[懶惰啼呼] ~ 나함택사[羅含宅舍] ~ 나향독우경출주[懶向督郵傾秫酒] 2400
4763 책책[嘖嘖] ~ 처당차연작[處堂嗟燕雀] ~ 처성자옥[妻城子獄] 2400
4762 부새령[符璽令] ~ 부생원[桴生員] ~ 부생유은[浮生有垠] 2403
4761 방방[汸汸] ~ 방분녹촉[防奔鹿觸] ~ 방사도봉래[方士到蓬萊] 2406
4760 이상[履霜] ~ 이상동몽[異床同夢] ~ 이상질[李尙質] 2411
4759 태계[台階]~태공[太公]~태공망[太公望] ~태공병법[太公兵法] 2411
4758 대공신관[帶孔新寬] ~ 대관제물[大觀齊物] ~ 대구승[大廐丞] 241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