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일빈신[一嚬申] ~ 일사족가왕[一士足可王] ~ 일상풍우[一牀風雨]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17  

일빈신[一嚬申] 얼굴을 찌푸리며 신음하는 소리이다. 이백의 명고가(鳴皐歌)寡鶴淸唳 飢鼯嚬申이라 했다.

일사부괘[一絲] 낚싯줄에 걸리지 않는 물고기라는 뜻으로, 진속(塵俗)에 이끌림을 당하면 안 된다는 비유로 곧잘 쓰는 선가(禪家)의 용어이다. <景德傳燈錄 南泉禪師>

일사불란[一絲不亂] 한 타래의 실이 전혀 엉클어지지 않았다는 데서, 질서정연(秩序整然)하여 조금도 어지러움이 없음을 말한다.

일사족가왕[一士足可王] () 나라 한유(韓愈)의 제전횡묘문(祭田橫墓文)() 나라가 망할 때를 당하여 한 명의 선비만 있어도 천하에 왕노릇 할 수 있었는데, 어찌 5백 명이나 되는 많은 사람으로서 부자(夫子; 전횡)를 칼끝에서 벗어나게 하지 못하였나.[當秦氏之敗亂 得一士而可王 何五百人之擾擾 而不能脫夫子於劍鋩]”라고 하였다. <韓昌黎集 卷二十二>

일사천리[一瀉千里] 강물의 수세(水勢)가 빨라서 한 번 흘러 천 리 밖에 다다름. 어떤 일이 조금도 거침없이 빨리 진행됨. 문장(文章)이나 구변(口辯)이 거침이 없음을 이른다.

일상풍우[一牀風雨] 오래 떨어져 있다가 반갑게 다시 만나 함께 거처하며 교분을 나누는 것을 말한다. () 나라 위응물(韋應物)시전진원상(示全眞元常)’이라는 시에 어찌 알았으랴 눈보라 치는 이 한밤에, 이렇게 다시 만나 한 침상에 잠들 줄을.[寧知風雪夜 復此對牀眠]”이라는 시구에서 비롯된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625 장유[長孺] ~ 장유강엄만천해[長孺剛嚴曼倩諧] ~ 장유박회양[長孺薄淮陽] 5802
4624 장원백[壯元柏] ~ 장원정[長源亭] ~ 장위위[張衛尉] 5583
4623 장요미[長腰米] ~ 장우[張禹] ~ 장욱필[張旭筆] 5403
4622 장영사계노추두[長纓思繫老酋頭] ~ 장오[檣烏] ~ 장왕[長往] 5210
4621 장염, 진택[張黶, 陳澤] ~ 장영[長纓] ~ 장영불사공하대[莊靈不死公何代] 4771
4620 장양왕[莊襄王] ~ 장어민[藏於民] ~ 장열[張說] 6127
4619 장야유천이운주[長夜幽泉已隕珠] ~ 장야지음[長夜之飮] ~ 장양부[長楊賦] 5409
4618 장안세[張安世] ~ 장안십일니[長安十日泥] ~ 장안추우니막막[長安秋雨泥漠漠] 5680
4617 장씨지족[張氏知足] ~ 장안미[長安米] ~ 장안살불오[莊雁還宜殺不嗚] 5529
4616 장실[丈室] ~ 장실봉산[藏室蓬山] ~ 장심문[將心問] 5114
4615 장순[張巡] ~ 장순원[張順院] ~ 장신초[長信草] 5909
4614 장수양[張睢陽] ~ 장수유식[藏修游息] ~ 장숙야[張叔夜] 5569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