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자경절[子卿節] ~ 자경청전[子敬靑氈] ~ 자고[鷓鴣]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891  

자경절[子卿節] 자경은 한 나라 소무(蘇武)의 자이다. 소무가 한() 나라 무제(武帝) 때 중랑장(中郞將)으로 있다가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는데, 흉노의 선우(單于)가 갖은 협박을 하면서 항복하기를 강요하였다. 그런데도 굴하지 않다가 큰 구덩이 속에 갇혀서 눈을 먹고 가죽을 씹으면서 지냈다. 그러다가 다시 북해(北海)로 옮겨져서 양을 치며 지냈는데, 그때에도 한 나라의 절()을 그대로 잡고 있었다. 갖은 고생을 하면서 19년 동안 머물러 있다가 소제(昭帝) 때 흉노와 화친하게 되어 비로소 한 나라로 돌아왔다. <漢書 卷54 蘇武傳>

자경청전[子敬靑氈] 자경은 진() 나라 때의 왕헌지(王獻之)를 이른다. 자경은 그의 자이다. 왕헌지가 어느 날 밤 재중(齋中)에 누웠을 때 도둑이 들어 모든 물건을 다 훔쳐가므로, 헌지가 도둑에게 말하기를 청색 모전(毛氈)은 우리 집의 세전지물이니 그것만은 놓고 가거라.”고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八十>

자고[子羔] 공자의 제자 고시(高柴)의 자다. 춘추시대 위나라의 대부로 자로와 함께 위나라에서 벼슬 했다. 기원전 521년에 태어났으나 죽은 해는 알 수 없다. 공자보다 30세 연하이다. 신장은 5척에 체 못 미쳤으며 그 외모는 못났다. 공자는 그를 보고 사람을 겉모습만 판단해서는 안 되는 실례라고 하면서 우직하다고 평했다.

자고[紫詁] 금랑(錦囊)에 담아 자니(紫泥)로 입구를 봉한 뒤 인장(印章)을 찍어서 반포하는 임금의 조서(詔書)를 말한다.

자고[紫誥] 임금의 조서는 비단주머니에 담고 풍화석(風化石)의 일종인 적석지(赤石脂)로 그 입구를 봉한 뒤에 그 위에다가 인장을 누르는 격식에서 나온 말로, 조서를 뜻한다.

자고[鷓鴣] 만당(晩唐)의 시인 정곡(鄭谷)의 자고(鷓鴣)를 읊은 시가 일세에 회자하여 마침내 자고의 별칭이 되었으므로 뒷 사람이 정씨를 만나면 으레 자고라 하였다.

자고[鷓鴣] 우는 소리가 행부득야가가(行不得也哥哥)’ 처럼 들린다고 하여, 먼 길 떠날 사람이 고향을 그리워할 때 흔히 시문 속에 등장시켰다.

자고[子羔] 춘추 시대 위() 나라 사람으로 공자의 제자인 고시(高柴)를 이름. 자고는 그의 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697 중니감려인[仲尼甘旅人] ~ 중니곤계맹[仲尼困季孟] ~ 중니칭기과[仲尼稱其果] 6298
4696 중규조조개자기[衆竅調刁皆自己] ~ 중규지조조[衆竅之刁刁] ~중금[重金] 3766
4695 중구삭금[衆口鑠金] ~ 중군[中軍] ~ 중궤[中饋] 5848
4694 중계약훈호[仲季若塤箎] ~ 중과부적[衆寡不敵] ~ 중구난방[衆口難防] 5763
4693 중경[中經] ~ 중경[仲卿] ~ 중경[仲景] 3307
4692 준주풍유요북해[樽酒風流邀北海] ~ 준준[撙撙] ~ 준치[蹲鴟] 3513
4691 준원전[濬源殿] ~ 준의한재하탑빈[准擬寒齋下榻頻] ~ 준조절충[樽俎折衝] 5880
4690 준벽화[皴碧畫] ~ 준순주[逡巡酒] ~ 준우조장[峻宇雕牆] 5863
4689 죽참순속[竹驂淳俗] ~ 죽취일[竹醉日] ~ 준골[駿骨] 6178
4688 죽지[竹枝] ~ 죽지곡[竹枝曲] ~ 죽지애[竹枝哀] 5617
4687 죽영사성남[竹影似城南] ~ 죽장망혜[竹杖芒鞋] ~ 죽장화룡[竹杖化龍] 6285
4686 죽상루[竹上淚] ~ 죽석[竹石] ~ 죽엽청[竹葉靑] 4092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