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송옥비곤[宋玉悲鵾]~송옥이생비[宋玉易生悲]~송원[宋遠]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889  

송옥비곤[宋玉悲鵾] 송옥은 전국(戰國) 때 초() 나라의 문장가로 그의 초사(楚辭) 구변(九辨)곤계(鵾鷄)가 슬피 운다.”라 하였다.

송옥비사[宋玉悲辭] 송옥은 전국시대(戰國時代) () 나라 사람으로 굴원(屈原)의 제자인데, 굴원이 추방당함을 민망스럽게 여겨 구변(九辯)을 지어 자기 선생의 뜻을 대신 나타냈다.

송옥시[宋玉詩] 송옥이 대언부(大言賦)와 소언부(小言賦)를 지었는데, 대언부는 천지간에 가장 큰 것을 읊었고, 소언부는 천지간에 가장 작은 것을 읊었다.

송옥이생비[宋玉易生悲] 송옥(宋玉)은 전국 시대 초() 나라 사람으로 굴원(屈原)의 제자이다. 굴원의 방축(放逐)을 슬퍼하며 지은 그의 유명한 시 구변(九辨)’悲哉 秋之爲氣也로 시작하여 쓸쓸한 가을 풍경을 묘사하는 것으로 전개되고 있다. <楚辭 卷6>

송옥추[宋玉秋] 처량한 가을빛을 보고 인생살이가 허무하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전국 시대 초() 나라의 시인인 송옥이 굴원(屈原)의 일을 슬퍼하면서 지은 구변(九辯)슬프구나 가을의 기운됨이여, 소슬해라 초목이 떨어져서 쇠하누나.”라 하였다.

송운[松雲] 임진왜란 때의 승병장 유정(惟政)의 호이다. 선조(宣祖) 37(1604) 국서(國書)를 지니고 일본에 건너가 강화(講和)를 맺고 우리나라 포로 35백 명을 데리고 돌아왔다.

송원[宋遠] 시경(詩經)누가 송 나라 멀다더냐, 한 돛대로 건너가리.”라는 구절이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4901 청조[靑鳥] ~ 청조루[聽潮樓] ~ 청주종사[靑州從事] 2312
4900 청정공작[淸淨公綽] ~ 청정채[淸淨債] ~ 청제수방혼탁하[淸濟須防混濁河] 2145
4899 청전선[靑錢選] ~ 청전작[靑錢鷟] ~ 청점[靑黏] 2041
4898 청전[靑錢] ~ 청전[靑田] ~ 청전[靑氈] 2195
4897 청이불문[聽而不聞] ~ 청작[靑雀] ~ 청재[淸齋] 2041
4896 청유막[靑油幕] ~ 청음경노학지시[淸音警露鶴知時] ~ 청의주[靑衣主] 2113
4895 청운[靑雲] ~ 청운지사[靑雲之士] ~ 청위종남[淸渭終南] 2097
4894 청옥안[靑玉案] ~ 청완적안[靑阮籍眼] ~ 청우화노석[靑牛化老石] 2130
4893 청열석[淸裂石] ~ 청영계남월[請纓繫南越] ~ 청오술[靑烏術] 1941
4892 청야[淸野] ~ 청양관[靑陽館] ~ 청련화중생[靑蓮火中生] 2053
4891 청아[菁莪] ~ 청아낙수[靑蛾落水] ~ 청안[靑眼] 2238
4890 청승[靑蠅] ~ 청신등롱[淸晨登隴] ~ 청심칠자[淸心七字] 2093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