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중오[重五] ~ 중용[中庸] ~ 중용지도[中庸之道]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914  

중오[重五] 음력 55일 즉 단오(端午)를 말한다. 중오(重午)라고도 하는데, 중은 겹친다는 뜻이다.

중오일[重午日] 55일 단오절(端午節)을 말한다.

중왈[重曰] 한이 다하지 못해 진술하는 경우에 쓰이는 악절의 이름.

중용[中庸] 주자(朱子; 朱熹)치우치지도 않고 기울어지지도 않고, 지나치거나 모자라는 일이 없는 것을 이르고, ‘평상(平常; 항상 변하지 않고 일정한 항구성)’을 말로, [中者不偏不倚無過不及之名, 庸平常也.] , 지나침과 모자람이 없고 항구성을 지니고 변함이 없는 성인(聖人)의 도가 곧 중용이라는 것이다. 중용의 은 무조건 중간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어떤 경우이건 그때그때 누구에게나 가장 알맞고 모든 일에 가장 적절한 도리. 그것이 곧 이다. ‘은 언제 어디에나 있고 영원 불변하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용은 순간적인 진리인 듯하면서도 우주의 근본이 되는 영원무궁한 진리인 것이다. 중용의 도는 가장 쉬운 길인 듯하면서도 상당한 덕()의 수양이 없이는 근처에도 가기 힘든 도인 것이다.

중용[中庸] 중은 한편으로 치우치지 않은 것이고 용은 변하지 않는 것으로 유가에서 최고의 도덕 표준으로 여긴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중용의 도덕은 바로 가장 높은 것이다.[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하였다.

중용[仲容] () 나라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완함(院咸)의 자인데, 완적(院籍)의 조카로 재주가 뛰어나고 호쾌하여 완씨 집안의 중심인물로 칭송받았다.

중용수구[中庸首句] 중용 제일장의 첫 구절인 하늘이 명한 것을 성이라 한다.[天命之謂性]”는 것을 가리킨 말이다.

중용지도[中庸之道] 마땅하고 떳떳한 도리. 극단에 치우치지 않고 평범하다.

 

 



번호 제     목 조회
53 금성옥진[金聲玉振] ~ 금성척처[金聲擲處] ~ 금성탕지[金城湯池] 5889
52 장순[張巡] ~ 장순원[張順院] ~ 장신초[長信草] 5913
51 장인항[丈人行] ~ 장자만등[長者萬燈] ~ 장자아[長者兒] 5914
50 중오[重五] ~ 중용[中庸] ~ 중용지도[中庸之道] 5915
49 정자[程子] ~ 정자진[鄭子眞] 5917
48 나부매[羅浮梅] ~ 나부산[羅浮山] ~ 나부춘몽[羅浮春夢] 5918
47 징사[徵士] ~ 징심지관[澄心止觀] ~ 징청지[澄淸志] 5925
46 중선금[仲宣襟] ~ 중선루[仲宣樓] ~ 중성[中聖] 5938
45 자양벽파[紫陽劈破] ~ 자양옹[紫陽翁] ~ 자여[子輿] 5946
44 주맹[主孟] ~ 주명절[朱明節] ~ 주무비음우[綢繆備陰雨] 5963
43 지림[祗林] ~ 지마분운[指馬紛紜] ~ 지무친이여선[知無親而與善] 5973
42 용양[龍驤] ~ 용양군[龍陽君] ~ 용양목노[龍陽木奴] 5982



   441  442  443  444  445  446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