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지소적[枝掃迹] ~ 지시긍균고[知時矜菌蛄] ~ 지어지앙[池魚之殃]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19  

지소적[枝掃迹] 공치규(孔稚圭)가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혹은 나뭇가지를 날려 수레를 부수기도 하고 혹은 나뭇가지를 낮게 드리워 속인(俗人)의 자취를 쓸어버린다.[或飛柯以折輪 或低枝而掃迹]”는 내용이 있다.

지수[祗樹] 지수는 불가의 말로 지수급고독원(祗樹給孤獨園)의 약칭인데 이 동산의 정사(精舍)에서 부처가 설법(說法)하였다.

지수[芝髓] 지초(芝草)의 골수를 이름.

지시긍균고[知時矜菌蛄] 하잘것없는 존재들은 무슨 물정을 알지 못한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아침에 난 버섯은 초하루 그믐을 알 수 없고, 씽씽 매미는 봄·가을을 알 도리가 없는 것이다.” 하였다.

지심돈교[指心頓敎] 지심의 교()는 선종(禪宗)에서 말하는 돈오법(頓悟法)을 가리킨다.

지아포[知我鮑] 춘추 때 제()의 관중(管仲)이 그를 알아주는 지극한 벗 포숙아(鮑叔牙)에게 이른 말. “나를 낳은 이는 부모어니와, 나를 알아 준 이는 포숙이다.” 하였다.

지어[知魚] 장자(莊子)와 혜자(惠子)가 호량(濠梁)에서 노닐 적에 물속에 고기가 노는 것을 보다가 장자가 물고기가 매우 즐겁구나.” 하니, 혜자가 말하기를 자네가 고기가 아닌데 어떻게 고기의 낙을 안단 말인가?”하니, 장자가 대답하기를 자네는 내가 아닌데 어떻게 내가 고기의 낙을 모를 줄을 아는가?”한 데서 온 말이다. <莊子 秋水>

지어구[志於彀] 맹자(孟子) 고자 상편(告子上篇)남에게 활쏘기를 가르치는 사람은 반드시 구()에도 뜻을 두나니, 배우는 사람도 또한 반드시 구()에다 뜻을 두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지어지앙[池魚之殃] 연못의 물고기에게 닥친 재앙. 성에 불이나 성 밖에 있는 연못의 물로 불을 끄느라고 연못의 물이 다 없어져 물고기가 죽게 된 고사에서 비롯된 말. 죄도 없고 아무 관계도 없는데 재앙이 닥치는 것을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589 입수작교룡[入水作蛟龍] ~ 입신양명[立身揚名] ~ 입언최말[立言最末] 4616
4588 제민왕[齊湣王] ~ 제분[除糞] 4615
4587 획리가[畫鯉歌] ~ 획사[畫沙] 4614
4586 맹견명[孟堅銘] ~ 맹공작[孟公綽] 4612
4585 일악[一鶚] ~ 일야초병각[一夜楚兵却] ~ 일양래복[一陽來復] 4610
4584 진평[陳平] ~ 진평재육균[陳平宰肉均] ~ 진함불출가[陳咸不出家] 4609
4583 향음주례[鄕飮酒禮] ~ 향자식손익[向子識損益] 4602
4582 현노[賢勞] ~ 현담[玄談] 4599
4581 강담[江潭] ~ 강도왕[江都王] 4595
4580 주덕송[酒德頌] ~ 주도기이동[周道旣已東] ~ 주도추[朱桃椎] 4595
4579 은교[銀橋] ~ 은구철삭[銀鉤鐵索] 4594
4578 현로[賢勞] ~ 현릉[玄陵] 4594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