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진구[秦篝] ~ 진군[眞君] ~ 진궁삼월홍염렬[秦宮三月紅焰烈]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251  

진구[秦篝] () 나라에서 만든 배롱(焙籠)이라는 말인데, 배롱은 화로 위에 씌워 놓고 젖은 옷 등을 말리는 기구로, 보통 대나 쇠붙이로 만들었다. 옛날에 초혼(招魂)할 때, 망자(亡者)의 옷을 배롱 위에 얹어 놓아 그의 혼이 그 속에 들어가도록 유도했던 풍속이 초사(楚辭) 초혼(招魂)에 실려 있다.

진국[殄國] 시경(詩經) 대아(大雅) 첨앙(瞻仰)사람이 없어지니 나라가 시들었네[人之云亡 邦國殄瘁]”를 말한다.

진군[眞君] 도교에서 말하는 신선(神仙)들의 존칭(尊稱)이다.

진군[眞君]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나오는 말로, 나의 진짜 주인이라는 뜻이다.

진군[陳君] 후한(後漢) 때의 순리(循吏)인 진림(陳臨)을 말한다.

진궁[秦宮] 후한(後漢) 때 왕실의 외척인 양기(梁冀)의 집 감노(監奴)의 이름인데, 그는 양기의 총애를 받아 벼슬이 태창령(太倉令)에 이르렀고, 위권(威權)을 크게 휘둘렀다. <後漢書 卷三十四>

진궁록위마[秦宮鹿爲馬] 진 나라의 승상(丞相) 조고(趙高)가 국정(國政)을 제맘대로 하고자 하나 군신(羣臣)들이 따르지 않을까 염려하여 자신의 위권(威權)을 보이기 위해, 이세황제(二世皇帝)에게 사슴을 바치면서 이것이 말입니다.” 하자, 이세황제가 웃으면서 승상이 잘못 안 게 아닌가? 사슴을 말이라고 하다니.” 하고, 좌우 신하들에게 물으니, 혹자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고, 혹자는 이라고 말하여 조고의 뜻에 아종(阿從)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史記 秦始皇本紀>

진궁삼월홍염렬[秦宮三月紅焰烈] 아방궁은 진시황(秦始皇)이 지은 큰 궁궐이다. 항우(項羽)가 진 나라를 멸한 뒤 아방궁을 불살랐다는데 두 달 동안이나 불이 꺼지지 않았다.

 

 



번호 제     목 조회
5105 고력사[高力士] ~ 고륜지해[苦輪之海] 5252
5104 진구[秦篝] ~ 진군[眞君] ~ 진궁삼월홍염렬[秦宮三月紅焰烈] 5252
5103 취모[醉帽] ~ 취모멱자[吹毛覓疵] 5251
5102 주고재재[酒誥梓材] ~ 주공몽견[周公夢見] 5248
5101 순릉[順陵] ~ 순문약[荀文若] 5248
5100 공손[公孫] ~ 공손홍[公孫弘] 5248
5099 단사두갱[簞食豆羹] ~ 단서차화곤[丹書借華袞] 5243
5098 견우불복상[牽牛不服箱] ~ 견의불위무용야[見義不爲 無勇也] 5241
5097 춘란추국[春蘭秋菊] ~ 춘몽파[春夢婆] 5239
5096 자첨반룡구[子瞻蟠龍句] ~ 자초지종[自初至終] ~ 자추사[子推事] 5238
5095 속한서[續漢書] ~ 손곡[蓀谷] 5237
5094 각극[刻棘] ~ 각기득기소[各己得其所] 5236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