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청정공작[淸淨公綽] ~ 청정채[淸淨債] ~ 청제수방혼탁하[淸濟須防混濁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158  

청정[靑精] 도가(道家)에서 청정석(靑精石)으로 지은 밥[]을 이르는데, 이것을 오래 복용하면 안색이 좋아지고 장수를 한다고 한다.

청정[靑精] 식물 이름. 일명 남촉(南燭)으로 그 줄기와 잎을 찧어 즙을 짜서 그 즙에다 쌀을 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아홉 번을 한 다음 그 쌀로 밥을 짓는데, 신선(神仙)이 먹는다고 한다. <神仙傳>

청정공작[淸淨公綽] 논어(論語) 헌문(憲問)맹공작(孟公綽)은 조() 나라나 위() 나라 대부의 가신(家臣)은 될 수 있지만 등() 나라나 설() 나라의 대부는 될 수 없다.”고 한 말이 있는데, 그 주에 공작은 노 나라 대부인데, 염정(廉靜)하고 욕심은 없으나 재주가 적은 사람이다.” 하였다.

청정반[靑精飯] 청정반은 도가(道家)에서 청정석(靑精石)으로 지은 밥을 이르는데, 이것을 오래 복용하면 장수한다고 한다.

청정채[淸淨債] ()에 통하여 청정(淸淨)에 돌아오는 것을 말한다. 소식시(蘇軾詩)산중에 청정의 빚을 질까 걱정이다.[恐負山中淸淨債]”라고 하였다.

청제[靑帝] 천제(天帝)의 이름으로 동방을 맡은 신인데, 동방은 봄에 해당된다 하여 봄의 신이라고도 한다.

청제[靑齊] 청주와 제주. 중국의 발해와 산동성 지역을 범칭(泛稱)한 것임.

청제당익로[靑齊當鷁路] 옛날 제() 나라 땅인 청주(靑州) 즉 산동반도 일대가 청() 나라에 넘어간 것을 말한다. 익로(鷁路)물새 여섯 마리가 하늘에서 거센 바람을 만나 뒤로 밀려 날아갔다.[六鷁退飛]”는 고사에서 연유하여, 재앙을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春秋左傳 僖公 16>

청제수방혼탁하[淸濟須防混濁河] 충정(忠正)한 마음을 견지하며 혼탁한 시류(時流)에 휩쓸리지 말라는 말이다. () 나라의 제수는 맑고 하수는 흐렸던 데에서 나온 말이다. <戰國策 燕策>

 

 



번호 제     목 조회
4901 천동[天童] ~ 천두비시요신비[千頭非是要身肥] ~ 천려일실[千慮一失] 2157
4900 마경[馬卿] ~ 마경가[馬卿家] ~ 마경유공[馬卿遊邛] 2159
4899 청정공작[淸淨公綽] ~ 청정채[淸淨債] ~ 청제수방혼탁하[淸濟須防混濁河] 2159
4898 녹포[綠蒲] ~ 녹피옹[鹿皮翁] ~ 녹황[鹿隍] 2161
4897 대사명[大司命] ~ 대삼[待三] ~ 대성[戴星] 2162
4896 청문[靑門] ~ 청문과지[靑門瓜地] ~ 청문학고후[靑門學故侯] 2162
4895 가산[假山]~가산[賈山]~가삽삼만축[架揷三萬軸] 2163
4894 수서[首鼠] ~ 수서양단[首鼠兩端] ~ 수석침류[漱石枕流] 2164
4893 혼적군주유[混迹群侏儒]~혼점[混點]~혼정신성[昏定晨省]~혼취[混吹] 2165
4892 징칙[徵則] ~ 징하례[徵夏禮] ~ 차공하사작무다[次公何事酌無多] 2167
4891 천미[川媚] ~ 천방[千房] ~ 천벽분등[穿壁分燈] 2167
4890 답가[踏歌] ~ 답렵[踏獵] ~ 답습[踏襲] 2168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