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탕병객[湯餠客]~탕우[湯憂]~탕탕[蕩蕩]~탕파자[湯婆子]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86  

탕반명일신[湯盤銘日新] 탕 임금이 목욕하는 그릇에다가 참으로 날로 새롭게 하고 날로 새롭게 하며, 또다시 날로 새롭게 한다.[苟日新 日日新 又日新]”는 명()을 새겨 스스로를 경계하였다.

탕병객[湯餠客] 탕병은 밀가루로 만든 국수를 말하는데, 옛날에는 아기가 출생한 지 3일째 되는 날 친척과 친지들이 모여 국수를 먹으며 축하하는 풍속이 있었다.

탕우[湯憂] 혹심한 가뭄을 가리킨다. 장자(莊子) 추수(秋水)() 임금 때에 8년 동안 일곱 번이나 가뭄이 들었어도 물의 높이가 더 줄어든 적이 없었다.”라고 하였다.

탕음[蕩陰] 지금의 하남성 탕음현(蕩陰縣) 남쪽에 위덕고성(魏德故城)이다. 일명 진비성(晉鄙城)이라고도 한다.

탕탕[蕩蕩] 탕탕은 덕()이 높고 큼을 말한다. 공자(孔子)는 일찍이 요 임금을 칭찬하면서 큰 하늘을 법받으시니 탕탕하여 백성들이 그 덕을 형언(形言)할 수 없네.[惟堯則之 蕩蕩乎民無能名焉]”라고 하였다.

탕파자[湯婆子] 온구(溫具)의 하나로, 동기(銅器)에 끓은 물을 담아 이불 속에 넣어서 다리를 따뜻하게 하는 제구인데, 일명 각파(脚婆)라고도 한다.

탕평행국화[蕩平行國化] 기자의 왕도정치(王道政治)를 말한다. 서경(書經) 홍범(洪範)편당(偏黨)이 없으면 왕도(王道)가 탕탕(蕩蕩)하고 편당이 없으면 왕도가 평평하다.”고 하였는데, 이 말은 기자가 무왕에게 임금의 법[皇極]을 말한 것으로서 편당이 없으면 훌륭한 정치가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13 탁연[卓然] ~ 탁영[濯纓] ~ 탁영가[濯纓歌] ~ 탁오[卓午] 2109
412 만규명[萬竅鳴] ~ 만규엽[萬圭葉] ~ 만규호[萬竅號] 2108
411 아손유홀역만상[兒孫有笏亦滿床] ~ 아수라장[阿修羅場] ~ 아시[衙時] 2108
410 형산[荊山]~형산왕[衡山王]~형산읍옥[衡山泣玉]~형상[荊桑]~형색[陘塞] 2108
409 반여[潘輿] ~ 반연연산명[班掾燕山銘] ~ 반용세[攀龍勢] 2107
408 청승[靑蠅] ~ 청신등롱[淸晨登隴] ~ 청심칠자[淸心七字] 2107
407 황류[黃流]~황릉묘[黃陵廟]~황리몽[隍裏夢]~황마[黃馬]~황마[黃麻] 2106
406 형등[螢燈]~형림[蘅林]~형만[荊蠻]~형모[衡茅]~형문[衡門] 2100
405 친자[親炙] ~ 칠거지악[七去之惡] ~ 칠계[七啓] 2097
404 호사다마[好事多魔]~호사수구[狐死首丘]~호사유피[虎死留皮]~호사휴호지[好事携壺至] 2089
403 화산[花山]~화산[華山]~화산기[華山畿] 2089
402 화극[畫戟]~화금[火金]~화누역경[火耨力耕] 2088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