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혜생재위루[嵇生才爲累]~혜성하[蹊成下]~혜소[嵇紹]~혜숙야[嵇叔夜]~혜심환질[蕙心紈質]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40  

혜생[嵇生] 삼국시대 위() 나라 초군(譙郡) 사람인 혜강(嵆康)으로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이다. 기풍이 출중하고 박식하였으며 노장(老莊)을 숭상하였다.

혜생재위루[嵇生才爲累]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하나인 진() 나라 혜강(嵇康)이 악인을 원수처럼 미워하다가 마침내는 종회(鍾會)의 참소를 받고 사마소(司馬昭)에게 살해당하였는데, 그가 죽기 전에 감옥에 갇혀 있을 적에, 옛날 선인(仙人) 손등(孫登)그대는 재주는 많으나 식견이 부족하여 오늘날 세상에서 면하기가 어려울 것이니, 부디 많은 것을 구하려 하지 말라.[今子才多識寡 難乎免于今之世矣 子無多求]”고 한 충고를 떠올리고는 옛날에 부끄럽게 충고를 받았나니, 지금 손등을 볼 면목이 없구나.[昔慙下惠 今愧孫登]”라는 내용의 시 유분(幽憤)을 지어 자책(自責)하였던 고사가 전한다. <晉書 卷49 嵇康傳世說新語 棲逸>

혜성하[蹊成下] 문하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것을 비유한 말. 한서(漢書) 이장군전(李將軍傳)도리(桃李) 밑에 오솔길이 생겼다.” 하였는데, 그 주에 도리는 본래 말을 못하지만 꽃과 열매가 사람들의 마음을 감동시키기 때문에, 사람들이 저마다 도리 밑으로 가 자연히 오솔길이 생기게 된다. 이는 이 장군이 말을 안 해도 사람들이 그에게 감화된 것이 있어 믿고 추종한 것을 비유한 것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혜소[嵇紹] 몽구 중(蒙求中) 혜소불고(嵇紹不孤)() 나라 혜소의 자()는 연조(延祖)이다. 그의 아버지 강()이 산도(山濤)와 친하였는데, 강이 사형을 당할 무렵에 아들 소에게 산도가 생존해 있으니 너는 외롭지 않을 것이다.’ 하였다. 그후에 과연 산도가 소를 천거하여 비서승(祕書丞)이 되었다.”라고 하였다.

혜숙야[嵇叔夜] 혜숙야는 진() 나라 때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혜강(嵇康)을 말한다. 숙야는 그의 자. 혜강은 방외(方外)의 선비로서 세속을 초탈하여 산택(山澤)에 노닐면서 약()이나 캐며 지냈는데, 갑자기 억울한 누명을 입고 동시(東市)에서 처형되었다. <晉書 卷四十九>

혜시오거[惠施五車] 장자(莊子) 천하(天下)혜시(惠施)는 방술이 많으니 그 책도 다섯 수레가 된다.”는 말이 있다.

혜심환질[蕙心紈質] 마음이 순결하고 성정(性情)이 고아(高雅)한 것을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081 탁타교[橐駝橋] ~ 탄검[彈劍] ~ 탄관[彈冠] ~ 탄관우왕[彈冠遇王] 1840
5080 치절[痴絶] ~ 치조비조[雉朝飛操] ~ 치창시[熾昌詩] ~ 치천[稚川] 1841
5079 혜생재위루[嵇生才爲累]~혜성하[蹊成下]~혜소[嵇紹]~혜숙야[嵇叔夜]~혜심환질[蕙心紈質] 1841
5078 형혹[熒惑]~형화[荊花]~혜가[慧可]~혜가단비[惠可斷臂]~혜각[慧覺] 1843
5077 탄협[長彈鋏] ~ 탄협객[彈鋏客] ~ 탈계두육[奪鷄頭肉] ~ 탈금포[奪錦袍] 1844
5076 탐호취자[探虎取子] ~ 탐화사자[探花使者] ~ 탐화연[探花宴] 1844
5075 가씨삼호[賈氏三虎]~가씨소[賈氏疏]~가아[駕鵝]~가아[可兒] 1845
5074 칠저삼[漆沮槮]~칠전팔도[七顚八倒]~칠절당[七絶堂] 1846
5073 가슬석자[歌瑟析子]~가슬추연[加膝墜淵]~가습이호묘[家習而戶眇] 1847
5072 칠정[七政] ~ 칠정선기[七政璿璣] ~ 칠조대의[漆雕大義] 1849
5071 호청경[虎聽經]~호축계[好祝雞]~호치단순[皓齒丹脣]~호탁씨[壺涿氏] 1849
5070 천황[天荒] ~ 천황팔만년[天皇八萬年] ~ 천후점기이해[天后占其利害] 185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