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황초체[黃初體]~황총상미[黃摠上眉]~황총요성[荒塚遼城]~황침[黃綅]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080  

황초[皇初] 개벽(開闢) 할 때, 즉 태고(太古) 시대를 말한다.

황초[黃初] 삼국(三國) 시대 위 문제(魏文帝; 曹丕)의 연호로, 이 연간에는 특히 훌륭한 시문가(詩文家)가 많아 황초체(黃初體)라는 시체(詩體)가 이룩되기도 했다.

황초체[黃初體] 황초는 위 문제(魏文帝)의 연호이므로, 즉 황초 연간의 시체(詩體)를 이른 말이다.

황총상미[黃摠上眉] 돌아갈 생각에 기쁜 기색을 띤다는 뜻이다. 옛날의 점치는 법에서 누런 기운이 미간에 생기는 것은 공경(公卿)이 될 상으로 보아 아주 좋은 조짐으로 여겼다. <太平御覽 卷364>

황총요성[荒塚遼城] 요동 사람 정령위(丁令威)가 도를 닦아 신선이 된 뒤 천 년 만에 학을 타고 고향 땅에 돌아왔는데, 어떤 소년이 활을 들고서 쏘려고 하자 공중을 배회하면서 성곽은 여전한데 사람들은 다르나니, 어찌 도를 안 배우고 무덤만 저렇게 즐비한고.[城郭如古人民非 何不學仙塚壘壘]”라고 말하고는, 하늘 높이 날아갔다는 전설이 전한다. <搜神後記 卷1>

황추포[黃秋浦] 황추포는 조선 선조(宣祖) 때 사람 황신(黃愼), 추포는 그의 호. 그가 선조 28(1595)에 명() 나라 책봉사 이종성(李宗城)을 따라 일본에 사신으로 갔는데, 바람을 만나 물길이 험하므로 바다 귀신에게 맹세하는 글[誓海文]을 지어 고하고 제사지냈다. 그의 일본왕환일기(日本往還日記) 825일 기사에 자세하다.

황침[黃綅] 지방 수령은 구리 도장에 노란 인끈을 찬다고 하여 수령을 뜻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285 화시[華始]~화식[火食]~화식전[貨殖傳]~화신풍[花信風]~화씨박[和氏璞] 1308
5284 가서한[哥舒翰]~가석이참[嘉石以慙]~가선[歌扇]~가선[嘉善] 1309
5283 황사[黃沙]~황사랑[黃四娘]~황산곡[黃山谷]~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1311
5282 가마[珂馬]~가마[賈馬]~가마[加麻]~가망[加望] 1312
5281 화주[火珠]~화주선학[華柱仙鶴]~화중지병[畵中之餠]~화지고침[畫紙敲針] 1320
5280 화하도[花下倒]~화학[化鶴]~화헌[華軒]~화현[花縣]~화협훈[華協勛]~화형[花形] 1321
5279 가도어인[假道於仁]~가도우거[假道于莒]~가도정의[家道正矣]~가도한위[假道韓魏] 1328
5278 홍곡[鴻鵠]~홍관일[虹貫日]~홍교[虹橋]~홍구[鴻溝]~홍군[紅裙] 1330
5277 환어[鰥魚]~환영[桓榮]~환이[桓伊]~환이[桓彝]~환이무쟁[桓伊撫箏] 1332
5276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334
5275 호도격주[號咷擊柱]~호두[虎頭]~호두[鄠杜]~호두전신[虎頭傳神] 1335
5274 호증[胡曾]~호지원[胡地怨]~호천[壺天]~호천망극[昊天罔極] 1335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