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교[駕轎]~가구[可口]~가구[家丘]~가구가대[可久可大]~가구향리폐[家狗向裏吠]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954  

가교[駕轎] 임금과 세자의 장거리 행차에 사용하는 가마를 이른다. 임금의 보편적 교통수단이었던 연()을 간편하게 개량한 것으로, 말을 앞뒤에 한 마리씩 두어 안장의 양편에 채의 끝을 걸어 끌게 하였고 황색의 복장을 한 하인들이 앞뒤 양쪽에 채가 흔들리지 않도록 누르며 갔다.

가구[歌謳] 노래를 부름이다.

가구[可口] 맛이 좋아서 입에 맞음이다.

가구[家丘] 사람들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변변찮은 고향 사람이라는 뜻의 겸칭이다. 공자가 성인인 줄을 모르는 어떤 노()나라 사람이 우리 동쪽 집에 사는 구라는 사람[我東家丘]”이라고 마구 불렀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인재를 알아보지 못하고 무시하는 것을 이른다. <顔氏家訓 慕賢>

가구가대[可久可大] 현인(賢人)의 업적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주역(周易) 계사전 상(繫辭傳上)오래 갈 수 있는 것은 현인의 덕이요, 광대해질 수 있는 것은 현인의 업이다.[可久則賢人之德 可大則賢人之業]”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가구향리폐[家狗向裏吠] 집에서 기르는 개가 집안을 향해 짓는다는 뜻으로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309 혹세무민[惑世誣民]~혹약[或躍]~혹자의봉사[或自疑封事]~혹혹[掝掝] 919
5308 획어가[畫魚歌]~획연[謋然]~획일[畫一]~획지성하[畫地成河]~획지위뢰[劃地爲牢] 919
5307 황아[黃芽]~황양[黃壤]~황양액윤년[黃楊厄閏年]~황어[黃魚]~황예[荒穢] 920
5306 가릉지회[柯陵之會]~가리[假吏]~가리비도[可離非道]~가림[賈林]~가립이대[可立而待] 920
5305 황화집[皇華集]~황화취죽본비진[黃花翠竹本非眞]~황황중니[遑遑仲尼] 928
5304 황발송[黃髮頌]~황백[幌帛]~황벽인배휴[黃蘗引裴休]~황변록[隍邊鹿] 929
5303 황유[黃楡]~황의[黃衣]~황유백초[黃楡白草]~황이[黃耳]~황이균[黃耳菌] 932
5302 황권[黃卷]~황극[皇極]~황금대[黃金臺]~황금압[黃金鴨]~황기[黃綺] 947
5301 황곡[黃鵠]~황공로[黃公壚]~황공비략[黃公祕略]~황공주로[黃公酒壚] 950
5300 가교[駕轎]~가구[可口]~가구[家丘]~가구가대[可久可大]~가구향리폐[家狗向裏吠] 955
5299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958
5298 가달[假㺚]~가담[迦譚]~가담[賈耽]~가담항어[街談巷語]~가당오씨[可堂吳氏] 960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