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롱성진[假弄成眞]~가루[家累]~가루견보[架漏牽補]~가류[苛留]~가륭[嘉隆]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490  

가롱성진[假弄成眞] 거짓된 것을 참된 것처럼 보이는 것. 장난삼아 한 일이 진짜가 되는 것을 이른다. 속어에 장난이 아이가 된다.’는 말이 있다. 농가성진(弄假成眞).

가루[家累] 가족을 이른다.

가루견보[架漏牽補] 틈이 난 곳을 얽어 막고 뚫어진 곳을 잡아 당겨서 때운다는 뜻으로, 당장에 급한 사태를 임시변통으로 둘러 맞춰서 잠시 해결함을 이르는 말이다. ()나라 두보(杜甫)의 가인(佳人) 시에 시비는 구슬 팔아 양식 사서 돌아오고, 덩굴 끌어와 띠 지붕 기운다네.[侍婢賣珠迴 牽蘿補茅屋]”라는 구절이 보인다. 이 시는 당숙종(唐肅宗) 건원(乾元) 2(759) 두보 나이 48세 때 쓰인 것으로, 안사(安史)의 난을 만난 미인의 궁색한 처지를 읊은 것이다.

가류[苛留] 심하게 사람을 못 가게 함을 말한다.

가륭[嘉隆] 가륭은 명 세종(明世宗)의 연호 가정(嘉靖)과 목종(穆宗)의 연호 융경(隆慶)의 합칭이다. 이 시기에는 후칠자(後七子), 즉 명나라 후기의 일곱 재자(才子)들이 활약하였고, 이에 앞서 명나라 효종(孝宗)의 홍치(弘治) 연간부터 무종(武宗)의 정덕(正德) 연간까지는 전칠자(前七子), 즉 명나라 전기의 일곱 재자들이 활약하였다. 전칠자는 이몽양(李夢陽), 하경명(何景明), 서정경(徐禎卿), 변공(邊貢), 강해(康海), 왕구사(王九思), 왕정상(王廷相)이고, 후칠자는 이반룡(李攀龍), 왕세정(王世貞), 사진(謝榛), 종신(宗臣), 양유예(梁有譽), 서중행(徐中行), 오국륜(吳國倫)이다. 이상의 전칠자, 후칠자는 모두 복고(復古)를 주장하여 문()은 진한(秦漢), ()는 성당(盛唐)의 격조를 숭상하였던바, 이몽양의 잠규산인기(潛虯山人記)에 의하면 송나라에는 시가 없었다.[宋無詩]”라고 말했거니와, 그 밖의 명인(明人)들에게서도 송나라에 시가 없었다는 말을 흔히 볼 수 있다. <空同集 卷48>

 

 



번호 제     목 조회
137 가롱성진[假弄成眞]~가루[家累]~가루견보[架漏牽補]~가류[苛留]~가륭[嘉隆] 1491
136 가불매조[呵佛罵祖]~가불원[柯不遠]~가비[家備]~가비옥이봉[可比屋而封] 1488
135 가둔[嘉遯]~가등[賈鄧]~가라수[加羅守]~가락[嘉樂]~가락시[假樂詩] 1485
134 한절치월[漢節馳越]~한정부[閒情賦]~한정영동상[漢廷迎董相] 1482
133 형창설안[螢窓雪案]~형처[荊妻]~형해득실[形骸得失]~형형[泂泂] 1480
132 화호각곡[畫虎刻鵠]~화호로[畫葫蘆]~화호유구[畵虎類狗]~화홍옥백[花紅玉白] 1479
131 형고[滎皐]~형극동타영[荊棘銅駝影]~형낭독서자[螢囊讀書子]~형담창화[荊潭唱和] 1478
130 판동[板桐]~판별방[辦別房]~판여[板輿]~판여오[板輿娛] 1475
129 가부취결[可否取決]~가부희[假婦戲]~가분구원[加賁丘園]~가분급부[可分給付] 1473
128 해오[蟹螯]~해옥신주[海屋新籌]~해옥첨주[海屋添籌]~해온풍[解慍風] 1470
127 혜고[蟪蛄]~혜공삭[惠公朔]~혜공상[惠公喪]~혜기[惠氣]~혜능[惠能] 1470
126 한소이두[韓蘇李杜]~한소후[韓昭侯]~한수[寒羞]~한수[韓壽] 1469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