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명성만 듣고 쓰지 마라
- 한비자 제42편 문전[1]-
서거가 전구에게 물었다. “저는 「지자(知者)는 낮은 지위에서 순차로 오르지 않고도 군주에게 인격과 학식이 알려져 대우를 받으며, 성인은 공적을 과시하지 않고도 군주의 측근이 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양성과 의거는 영특한 장군이나 그 전에는 하찮은 하급의 지위에 있었으며, 공손단 회는 성인과 같은 재상입니다만 그 옛날엔 지방의 말단 관리로 일을 했습니다. 이것은 어찌된 영문입니까.” 전구가 대답했다. “그것은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다. 군주가 법도를 지키며 통솔하는 기술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당신은 초나라가 송고를 장군으로 임명했기 때문에 국정이 잘 안되고, 위나라가 빙리를 재상으로 하여 나라가 망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없는가. 초와 위 두 나라의 군주는 그들의 거창한 평판에 매혹되고 웅변에 넋을 잃어 하급의 군관이나 지방의 말단 관리로 써보지도 않고 몇 계급을 특진시킨 결과 실정과 망국의 재난을 초래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급 군관으로서 시험해 보거나 지방의 말단 관리로서 시험해 보지도 않았다면 어찌 현명한 군주라고 할 수 있겠는가.”
- 韓非子 第42篇 問田[1]- 徐渠問田鳩曰:「臣聞智士不襲下而遇君, 聖人不見功而接上. 今陽成義渠, 明將也, 而措於毛伯 公孫亶回, 聖相也, 而關於州部 何哉?」 田鳩曰:「此無他故異物· 主有度· 上有術之故也. 且足下獨不聞楚將宋觚而失其政, 魏相馮離而亡其國? 二君者驅於聲調, 眩乎辯說, 不試於毛伯, 不關乎州部, 故有失政亡國之患. 由是觀之, 夫無毛伯之試, 州部之關, 豈明主之備哉!」
|
|
|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
|
|
|
|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