落葉吟[낙엽음] 지는 잎
- 金炳淵[김병연] -
蕭蕭瑟瑟又齊齊[소소슬슬우재재] 가을바람 솨솨 솔솔 우수수 떨어져
埋山埋谷或沒溪[매산매곡혹몰계] 산 덮고 골 메우고 시내에도 잠기네
如鳥以飛還上下[여조이비환상하] 새처럼 날아올라 도로 내리기도 하며
隨風之自各東西[수풍지자각동서] 바람 따라 사방으로 각자 날리어가네
綠其本色黃猶病[녹기본색황유병] 푸름이 본색이요 노래짐은 병듦이니
霜是仇綠雨更凄[상시구록우경처] 서리가 원수거늘 비에 더욱 처량해라
杜宇爾何情薄物[두우이하정박물] 두견아 너는 어찌 그리 정이 박하여
一生何爲落花啼[일생하위낙화제] 일생을 지는 꽃만 위해 울어주느냐
❍ 김병연[金炳淵] 조선(朝鮮) 후기(後期)의 방랑(放浪) 시인(詩人). 자는 성심(性深)이며 호는 난고(蘭皐)이다.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 불린다.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도 양주 출생.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즉흥적인 풍자시를 많이 지어서 남겼다. 평안도 선천부사(宣川府使)였던 할아버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의 난 때에 항복한 죄로 집안이 멸족(滅族)을 당하였다. 노복 김성수(金聖洙)의 도움으로 여섯 살 때 형 김병하(金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하여 숨어 지냈다. 후일 멸족에서 폐족(廢族)으로 사면되어 형제는 어머니에게로 돌아갔다. 그러나 아버지 김안근(金安根)은 화병으로 죽었다. 어머니는 자식들이 폐족자로 멸시받는 것이 싫어서 강원도 영월로 옮겨 숨기고 살았다. 이 사실을 모르는 김병연이 과거에 응시하여 논정가산충절사탄김익순죄통우천(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于天)이라는 그의 할아버지 김익순을 조롱하는 시제로 장원급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내력을 어머니에게서 듣고는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과 폐족자에 대한 멸시 등으로 20세 무렵부터 처자식을 둔 채로 방랑 생활을 시작하였다.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즉흥시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민중 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 전남 화순)에서 57세에 객사하였다.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전한다.
❍ 소소[蕭蕭] 쓸쓸하고 처량한 모양. 고요하다. 적막하다. 싸늘하다. 드문드문하다. 초라하다. 말쑥하다. 바람이나 빗소리 따위가 쓸쓸함. 바람이 불거나 비가 오는 모양이 쓸쓸함. 소슬함. 소소하다.
❍ 소소[蕭蕭] 쏴쏴. 솨솨. 우수수. 비바람 또는 낙엽 등이 내는 소리. 바람이 나무에 불어서 나는 소리. 나뭇잎이 지는 소리. 물 흐르는 소리. 악기소리. 왕안석(王安石)의 시 시원중오절구(試院中五絶句)에 “처마 끝에선 드문드문 빗소리가 들려오고, 귀뚜라미는 귀뚤귀뚤 풀 속에서 울어대네.[蕭蕭疏雨吹檐角 噎噎鳴蛩啼草根]”라고 하였고, 모융(牟融)의 시 유보본사(游報本寺)에 “차 연기 하늘하늘 선탑을 감아 오르고, 대나무 그림자 쏴쏴 샛길 이끼를 쓰네.[茶烟裊裊籠禪榻 竹影蕭蕭掃徑苔]”라고 하였다.
❍ 슬슬[瑟瑟] 솨. 솔솔. 살랑살랑. 스르륵. 가을의 쓸쓸한 바람 소리. 떠는 모양. 가을바람이 단풍잎과 억새꽃에 불면서 나는 소리. 벌벌 떨다. 바람 부는 소리가 우수수하여 쓸쓸하고 적막(寂寞)함. 백거이(白居易)의 시 비파행(琵琶行)에 “심양강 기슭에서 밤에 손과 작별하려니, 단풍잎과 갈대꽃에 가을 바람 소리 쓸쓸하네.[潯陽江頭夜送客 楓葉荻花秋瑟瑟]”라고 하였다.
❍ 제제[齊齊] 공경하고 삼감. 정돈됨. 단정하고 성실하다.
❍ 두우[杜宇] 두견새의 별칭으로, 원래는 고대 촉(蜀)나라 망제(望帝)의 이름이다. 두견새는 망제혼(望帝魂)·불여귀(不如歸)·귀촉도(歸蜀道) 등으로도 불린다. 그 울음소리가 자못 처절하여 능히 객수(客愁)를 자아낸다. 전설에 서촉(西蜀)의 군왕 두우(杜宇)가 재상 별령(鱉靈)의 아내와 사랑에 빠져 국사를 돌보지 않았는데, 그 사이 별령이 왕의 자리를 차지하고 두우를 쫓아냈다. 두우는 왕위를 빼앗기고는 부끄러움과 한을 품고 죽었는데, 그 후 자규 한 마리가 날아와 궁궐 앞에서 슬피 울자, 촉나라 사람들이 이 새를 망제의 혼으로 여겨 망제혼(望帝魂)이라 하였고, 그 울음소리가 불여귀거(不如歸去)라고 하는 것 같다고 하여 불여귀(不如歸)라고 불렀다 한다. <太平御覽 卷166><華陽國志 蜀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