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성[佳城] 가성은 묘소를 일컫는 말이다. 한(漢)나라 고조(高祖)의 명신인 등공(滕公) 하후영(夏侯嬰)이 하루는 말을 타고 동도문(東都門)에 이르렀는데, 말이 가지 않고 발로 땅을 차기에 그곳을 파 보니 석곽(石槨) 하나가 나왔는데, 여기에 “답답하던 가성이 3천 년 만에 태양을 보았네. 아, 등공이 이곳에 머물리라.[佳城鬱鬱 三千年見白日 吁嗟滕公居此室]”라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었다. 이에 등공이 유언하여 자신이 죽은 뒤에 이곳에 장사지내게 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西京雜記 卷4>
❍ 가성[佳城] 무덤을 뜻한다. 한 고조(漢高祖)의 명신인 하후영(夏侯嬰)은 봉호가 등공(滕公)인데, 등공이 일찍이 말을 타고 동도문(東都門)에 이르렀을 때 말이 가지 않고 발로 땅을 허비적거리므로, 그곳을 파 본 결과 석곽(石槨) 하나가 나왔다. 이를 깨끗이 씻어서 보니 “답답하던 가성이 삼천 년 만에 태양을 보았도다. 아, 등공이 이곳에 거처하리라.[佳城鬱鬱 三千年見白日 吁嗟滕公居此室]”라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었다. 이에 등공이 죽은 뒤에 유명(遺命)에 의해 그곳에 장사 지냈다. <西京雜記 卷4>
❍ 가성[佳城] 아름다운 성(城). 무덤의 견고함을 성에 비유하여 이른 말이다. 한(漢)나라 등공(滕公)이 말을 타고 가다가 동도문(東都門) 밖에 이르자 말이 울면서 앞으로 나가지 않고 발로 오랫동안 땅을 굴렀다. 사졸(士卒)을 시켜 땅을 파보니 깊이 석 자쯤 들어간 곳에 석곽(石槨)이 있고, 거기에 “가성(佳城)이 울울하니, 삼천 년 만에야 해를 보도다. 아아! 등공이여, 이 실에 거처하리라.[佳城鬱鬱 三千年見白日 吁嗟滕公 居此室]”라는 글이 새겨져 있었다 한다. <西京雜記 卷4>
❍ 가성[家聲] 여러 대 전해 오는 그 집안의 명성. 집안의 명예.
❍ 가성견일[佳城見日] 가성은 묘소를 일컫는 말로, 해를 본다는 것은 다시 무덤을 열어 천장한다는 뜻이다. 한(漢)나라 고조(高祖)의 명신인 등공(滕公) 하후영(夏侯嬰)이 하루는 말을 타고 동도문(東都門)에 이르렀는데, 말이 가지 않고 발로 땅을 차기에 그곳을 파 보니 석곽(石槨) 하나가 나왔는데, 여기에 “답답하던 가성이 3천 년 만에 태양을 보았네. 아, 등공이 이곳에 머물리라.[佳城鬱鬱 三千年見白日 吁嗟滕公居此室]”라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었다. 이에 등공이 유언하여 자신이 죽은 뒤에 이곳에 장사지내게 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西京雜記 卷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