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산조[酸棗] ~ 산중편편가저작[山中片片可抵鵲]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765  
♞산조[酸棗] 지금의 하남성 연진(延津) 서남. 춘추 때 정나라 땅이었다가 후에 위(魏)나라의 영토가 되었다. 위문후(魏文侯) 32년 기원전 393년에 정나라를 정벌하고 산조(酸棗)에 성을 쌓았다.( 魏文侯32年‘伐鄭, 城酸棗) 후에 진나라가 산조현(酸棗縣)을 설치했다.
♞산조[酸棗] 지금의 하남성 연진현(延津縣) 서남의 위나라 령의 성읍이다.
♞산주[山廚] 원래는 산 속의 푸줏간을 이르는 말이다.
♞산죽렬[山竹裂] 두견새 울음을 말한다. 두견새가 울면 그 소리가 너무도 처절하여 산죽(山竹)이 갈라진다 한다. 두보의 현도단가기원일인(玄都壇歌寄元逸人)에 “두견새가 밤에 우니 산죽이 갈라진다.”하였다.
♞산중목천장[山中木千章] 부친이 물려주신 산골의 가산(家産)이라는 말이다. 한말(漢末)의 청렴한 관리였던 이형(李衡)이 남몰래 감귤 일천 그루를 심어 놓고는 임종할 적에 자기 아들에게 일러 주었던 고사가 전한다. <三國志 卷48 吳書 孫休傳>
♞산중백운[山中白雲] 산 속의 흰 구름이라는 뜻으로, 산중의 백운은 내 마음을 기쁘게 해주지만 선물로 당신에게 줄 수 없다는 의미에서 방문객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산중편편가저작[山中片片可抵鵲] 양(梁) 나라 재상(宰相) 장영(張影)이, 산의 까치가 날아[飛翔] 원석(圓石)이 된 것을 얻어 깨어 보니, “충효후인(忠孝侯印)”이라고 새겨진 금인(金印)을 얻었다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33 위주삼곡용[魏犨三曲踊] ~ 위주환유치완적[爲酒宦遊嗤阮籍] 3773
532 위족[衛足] ~ 위종석피양광발[危踪昔被佯狂髮] 3664
531 위제[魏齊] ~ 위제잉득평원류[魏齊仍得平原留] 3772
530 위자[魏紫] ~ 위정대부지[危鼎待扶持] 3882
529 위위[暐暐] ~ 위인모이불충호[爲人謀而不忠乎] 3799
528 산화녀[散花女] ~ 산회용호[山回龍虎] 3904
527 산해지[山海誌] ~ 산호전상자금용[珊瑚殿上紫金容] 3948
526 산하대려[山河帶礪] ~ 산하표리[山河表裏] 4398
525 산택능장질[山澤能藏疾] ~ 산패[滻浿] 3644
524 산지사방[散之四方] ~ 산첨[蒜尖] 3811
523 산조[酸棗] ~ 산중편편가저작[山中片片可抵鵲] 3766
522 산자견[山字肩] ~ 산전수전[山戰水戰] 3734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