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충하[充虛] ~ 췌췌[惴惴]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852  
♞충하[充虛] 공허한 마음을 채우다. 즉 외로움 또는 상실감을 채우다.
♞충허경[沖虛經] 중국의 전국 시대 열어구(列禦寇)가 지은 열자(列子)의 이칭(異稱). 당 현종(唐玄宗) 천보(天寶) 원년(742)에 열자를 높이어 충허진인(沖虛眞人)이라 부르고, 그의 책을 충허진경(沖虛眞經)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열자는 노자(老子)·장자(莊子)와 함께 도가(道家)를 대표하는 사상가이다.
♞충헌[忠獻] 송(宋) 나라 때의 명상(名相)인 한기(韓琦)의 시호이다.
♞충헌[忠憲] 충헌은 윤선도(尹善道)의 시호이다.
♞충헌가한서적담[忠獻可寒西賊膽] 충헌은 송(宋) 나라 명신(名臣) 한기(韓琦)의 시호이다. 일찍이 서하(西夏)가 배반하자 한기가 섬서경략안무초토사(陝西經略按撫招討使)가 되어 평정하였다. 서적(西賊)은 곧 서하를 뜻한다.
♞충화기[冲和氣] 담박하고 평화로운 기운, 즉 진원(眞元)의 기(氣)를 말한다.
♞췌췌[惴惴] 두려워서 벌벌 떠는 모양.
 
 



번호 제     목 조회
209 출가[出家] ~ 출곡천교[出谷遷喬] 5929
208 자미칠가[子美七歌] ~ 자미화하객[紫微花下客] ~ 자방[子房] 5929
207 백초[白草] ~ 백치성[百雉城] 5930
206 번간몽[墦間夢] ~ 번군[繁君] 5933
205 계가모불[笄加髦拂] ~ 계강자[季康子] 5934
204 이환[泥丸] ~ 이효위충[移孝爲忠] ~ 이흘[李忔] 5935
203 전거[氈車] ~ 전거지감[前車之鑑] 5936
202 진평[陳平] ~ 진평재육균[陳平宰肉均] ~ 진함불출가[陳咸不出家] 5936
201 진효부[陳孝婦] ~ 진훤[陳暄] ~ 질도[郅都] 5936
200 가담공견멱소중[賈耽空遣覓巢中] ~ 가대인[家大人] 5939
199 숙헌[叔獻] ~ 숙홀[儵忽] 5951
198 곽외[郭隗] ~ 곽희[郭熙] 5952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