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서호[西湖] ~ 서호팔경도[西湖八景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959  
♞서호[西湖] 중국 절강(浙江) 항주(杭州)에 있는 호수 이름인데, 송(宋) 나라의 임포(林逋)가 학을 기르고 매화를 가꾸며 은거한 채 살던 곳이다.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등도 모두 이 곳에서 연회를 베풀고 절경(絶景)을 감상했었다.
♞서호농말여서시[西湖濃抹如西施] 소동파의 시에, “만일 서호(西湖)를 가지고 서자(西子)에 비한다면, 얕은 화장과 짙은 화장이 모두 마땅하다.”하였다, 이것은 서호의 경치가 개인 날에도 좋고 비오는 날에도 좋다는 뜻이다.
♞서호처사[西湖處士] 송(宋) 나라 때의 은사인 임포(林逋)를 이른다. 그는 서호의 고산(孤山)에 집을 짓고 살면서, 장가도 들지 않고 자식도 없이 혼자서 매화를 심고 학(鶴)을 길렀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그를 매처학자(梅妻鶴子)라고까지 하였다. 서화(書畫)와 시를 잘하여 그가 읊은 산원소매시(山園小梅詩)의 “성긴 그림자는 맑고 얕은 물에 비끼어 있고 은은한 향기는 황혼 달 아래 부동하누나[疏影橫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한 것을 세상에서 절창(絶唱)으로 일컬었다.
♞서호칠월주[西湖七月舟] 참고로 소동파(蘇東坡)는 6월의 서호가 좋다고 하여 “畢竟西湖六月中 風光不與四時同”이라는 구절을 남겼다. <蘇東坡詩集 卷50 西湖絶句>
♞서호팔경도[西湖八景圖] 서호(西湖)는 중국 항주부(杭州府) 서쪽에 있는 둘레가 30 리쯤 되는 호수로 주위 산천이 수려하고 모든 물색도 화려하여 당(唐) 나라 이후로 손꼽히는 명승지인데, 거기에는 평호추월(平湖秋月)․소제춘효(蘇堤春曉) 등 십경(十景)이 있다고 한다. <明一統志>
 
 



번호 제     목 조회
5249 팔애시[八哀詩] ~ 팔영시[八詠詩] 6240
5248 마외[馬嵬] ~ 마외혈오[馬嵬血汚] 6237
5247 주하사[柱下史] ~ 주하수[柱下叟] ~ 주해추[朱亥椎] 6236
5246 장안세[張安世] ~ 장안십일니[長安十日泥] ~ 장안추우니막막[長安秋雨泥漠漠] 6232
5245 증예[烝乂] ~ 증유진[甑有塵] ~ 증점슬[曾點瑟] 6217
5244 장포[漳浦] ~ 장포자리거[漳浦子離居] ~ 장풍파랑[長風破浪] 6213
5243 왕자교[王子喬] ~ 왕자량[王子良] 6206
5242 중산[中山] ~ 중산방만낙양서[中山謗滿樂羊書] ~ 중산참방[中山讒謗] 6206
5241 중계약훈호[仲季若塤箎] ~ 중과부적[衆寡不敵] ~ 중구난방[衆口難防] 6201
5240 춘반[春盤] ~ 춘부장[椿[春]府丈] 6187
5239 진과자미[秦瓜自美] ~ 진관[秦觀] ~ 진교편석[秦橋鞭石] 6172
5238 주묵사[朱墨史] ~ 주묵필[朱墨筆] ~ 주문연[主文硏] 6168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