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전정만리【前程萬里】나아기 젊어 장래가 유망함.

전정후채【前丁後蔡】전정후채는 곧 송(宋) 나라 때 정위(丁謂)와 채양(蔡襄)이 서로 전후하여 맨처음 건주산(建州産) 용단다(龍團茶)를 개발해서 진상하였던 일을 가리킨 것이다.

전제【筌蹄】고기를 잡는 통발[筌]과 토끼를 잡는 올무[蹄]는 목적을 위한 방편(方便)이며, 통발과 올무는 결국 고기와 토끼는 아니듯이, 언설(言說)은 진리를 말할 것이로되 끝내 진리가 아니므로 진리를 구하려면 언설을 잊어야 한다. “통발은 고기를 잡는 것이나 고기를 얻고는 통발을 잊어야 하고, 올무는 토끼를 잡는 것이나 토끼를 얻고는 올무는 잊어야 하며, 말은 뜻을 나타내는 것이나 뜻을 얻고는 말을 잊어야 한다.” 하였다.

전제【筌蹄】효용이 없어져 쓸모 없게 된 물건을 말한다. 장자(莊子) 외물(外物)에 “물고기를 잡고 나면 통발은 생각하지 않게 되고, 토끼를 잡고 나면 그물을 잊게 마련이다.[得魚而忘筌 得兎而忘蹄]”라는 말이 있다.

전조【銓曹】이조(吏曹)나 병조(兵曹)처럼 인사 행정을 담당한 부서를 말하는데, 이조에서는 문관(文官), 병조에서는 무관(武官)의 전형(銓衡)을 맡았음.

전조【錢趙】전은 오대(五代) 시대 오월국왕(吳越國王)인 전유(錢鏐)를 말하고, 조는 송 태조(宋太祖)인 조광윤(趙光胤)을 가리킨다.

전주【前籌】한(漢)나라 장량(張良)이 한왕(漢王)께 뵈오니 그가 막 식사 중이라, 양(良)이 밥상의 저를 빌어 조건을 세어가면서 계책을 아뢰었다.

전중【殿中】전중감찰(殿中監察)의 준말이다.

전중【殿中】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의 약칭. 전정(殿庭)에서 천자(天子)의 호종(扈從)을 맡음.

전중낙간【殿中落簡】조선 시대에 논의할만한 조정의 일로서 그 사실을 아는 감찰(監察)이 그 내용을 종이에 써서 옷소매에 간직하였다가 모임이 있을 때 대청(臺廳)에 떨어뜨려서, 다른 대간들이 그 내용을 보고 쓸 만하면 대론(臺論)으로 채택하여 논계하고 불가하면 인통(印筒)에 봉치(封置)하게 한 제도. 전중(殿中)은 감찰의 별칭.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고려 때 어사대(御史臺)의 정6품 벼슬로, 조선의 감찰(監察)에 해당한다.

전지【塡池】끝내 출세하지 못함을 비유한 말. 삼국(三國) 시대 오(吳) 나라 주유(周瑜)의 상소문에서, 유비(劉備)는 용(龍)의 자질이라 결코 지중(池中)에 오래 묻혀 있을 사람이 아니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三國志 吳志》

전지【餞遲】두보(杜甫)의 시에 “바삐 서둘러 긴 여정(旅程)에 벌써 오르시는데, 전별 자리 미적대다 만나 뵙지도 못했네요.[蒼惶已就長途往 邂逅無端出餞遲]”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5 送鄭十八虔貶台州司戶》

전진【前塵】불교 용어로, 망심(妄心)의 앞에 나타나는 일체 세간의 모든 사물[六塵]을 말한다.

전차복철【前車覆轍】앞사람의 실패를 거울삼아 주의하라는 뜻의 고사성어.

전차복후차계【前車覆後車戒】앞에 가는 수레가 엎어지면 뒤에 가는 수레는 그것을 보고 교훈을 삼는다. 앞 사람의 실패를 교훈으로 삼는다는 뜻이다.

전철【前轍】앞에 지나간 수레바퀴의 자국. 전인(前人)의 실패나 잘못을 비유

전철유유가【前哲有遺歌】시경(詩經) 위풍(衛風) 고반(考槃)에 “은자가 숨어살며 그의 산에서 사는 즐거움을 남에게 말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전청【轉淸】다음. 다음으로 굴러가다. 멈추지 않고 변화해 더 나아진다는 뜻임.

전청【田靑】전청은 논우렁임.

전체생원【傳遞生員】할 일 없이 각 고을에 몰려다니며 수령들을 위협해서 민폐를 끼치는 양반들을 일컬음. ☞ 부생원(桴生員)

전추【前騶】옛날 관리들이 길을 갈 때 그 앞에 서서 크게 외쳐대며 앞길을 인도하는 하인을 말한다.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200/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