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袁凱[원개]京師得家書[경사득가서]집에서 온 편지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108  

 

京師得家書[경사득가서] 집에서 온 편지

 

- 袁凱[원개] -

 

江水一千里[강수일천리] 강물은 천리를 흐르건만

家書十五行[가서십오행] 집에서 온 편지는 열다섯 줄

行行無別語[행행무별어] 줄마다 특별한 말은 없고

只道早還鄕[지도조환향] 일찍 돌아오라는 당부 뿐

 


원개[袁凱] 원말(元末) 명초(明初)의 문인이다. ()는 경문(景文), ()는 해수(海叟)로 송강(松江) 화정(華亭 사람이다. ()나라의 시인들 중 고계(高啓)에 버금가는 대가이다. 박학하고 재변이 있어 의론을 펼침에 좌중을 압도하였다. 홍무(洪武) 연간에 천거되어 어사(御史)가 되었다. 명태조(明太祖) 주원장(朱元璋)이 그를 노활지양단(老猾持兩端: 교활하여 양 극단을 지녔다)이라고 평가하자 개와 돼지의 배설물을 먹으며 미친 것으로 위장하여 물러났다. 두보를 배워 시에 능했는데 어느 날 정치가 양유정(楊維楨)이 베푼 술잔치에서 한 손님이 자신이 지은 백연시(白燕詩)를 보여주자, 원개(袁凱)는 웃으며 즉석에서 백연시(白燕詩) 한 편을 지었다. 그 뒤로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서 원백연(袁白燕)이라 하였다. 재야집(在野集), 해수집(海叟集) 4권과 집외시(集外詩) 1권이 전한다.

경사[京師]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는 곳. 원래 ()’은 지명이고 ()’는 도읍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나중에는 나라의 도읍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명사가 되었다.

 

 



번호 제     목 조회
302 白居易[백거이]慈烏夜啼[자오야제]밤에 우는 까마귀 3137
301 任叔英[임숙영]哭內[곡내]먼저 간 아내에게 3130
300 袁凱[원개]京師得家書[경사득가서]집에서 온 편지 3109
299 白居易[백거이]古墳[고분]오래된 무덤 3102
298 黃庭堅[황정견]鄂渚南樓書事[악저남루서사]누각에서 3100
297 高騈[고병]山亭夏日[산정하일]여름날의 산 속 정자 3084
296 柳宗元[유종원]溪居[계거]산골짝에서 살며 3058
295 李白[이백]蘇臺覽古[소대람고]소대에서 옛날을 상상하며 3032
294 李荇[이행]陜川聞子規[합천문자규]합천, 두견이 우는 밤 3030
293 張旭[장욱]山中留客[산중유객]산 속에 머물며 3025
292 屈原[굴원]漁父辭[어부사]어부의 노래 3024
291 元天錫[원천석] 改新國號爲朝鮮 二首[개신국호위조선 2수] 국호(國號)를 조선(朝鮮)이라 정하였으니 3021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