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陳子昻[진자앙]登幽州臺歌[등유주대가]유주의 누대에 올라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068  

 

登幽州臺歌[등유주대가] 유주의 누대에 올라

 

- 陳子昻[진자앙] -

 

前不見古人[전불견고인] 앞으로는 옛사람 보지 못하고

後不見來者[후불견래자] 뒤로는 오는 사람 보지 못하네

念天地之悠悠[염천지지유유] 천지의 유유함을 생각하다

獨愴然而涕下[독창연이체하] 홀로이 슬퍼져 눈물 흐르네

 


진자앙[陳子昻] 초당(初唐)의 시인으로 자()는 백옥(伯玉), 재주(梓州) 사홍(梓州: 지금의 사천성四川省 사홍현射洪縣) 사람이다. 우습유(右拾遺)를 지낸 그를 사람들이 진습유(陳拾遺)라고 불렀다. 명문 출신으로 가세가 풍요했고, 건장하고 준수하였으나, 어려서부터 협객들과 어울려 방탕한 생활에 빠져 17세가 되도록 글을 읽지 못하였다. 18세 후에야 뒤늦게 자각하여 공부를 시작해서 24살 때 진사에 합격했고,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벼슬하여 우습유(右拾遺)가 되었다. 직언과 간언에 거침이 없었고, 두 차례 종군을 통해 변경의 형편과 백성들의 삶에 대해 소상히 알 수 있었다. 부친이 나이가 들자 벼슬을 내놓고 고향으로 내려갔는데 부친의 상을 당한 기간에 권신(權臣) 무삼사(武三思)가 사홍현 태수를 시켜 없는 죄로 모함하여 42세라는 아까운 나이에 옥사하였다. 시와 문장에 모두 능했는데, 그의 시풍은 풍골이 우뚝하고 우의寓意가 깊었으며 고풍스러우면서도 힘을 갖췄다는 평가를 들었다. 당시 유행하던 궁체시(宮體詩)에 반대하며 형식에 치우친 제양(·)의 귀족적 시풍(詩風)을 일소하고, 한위(·)의 고아(高雅)한 시풍으로의 회고를 제창하여 초당시(初唐詩)의 유약한 폐단을 고쳐 초당의 시가개혁에서 큰 성취를 이뤄냈다. 진습유집(陳拾遺集)과 진백옥집(陳伯玉集)이 전한다.

유유[悠悠] 아득하게 먼 모양. 때가 오랜 모양. 침착(沈着)하고 여유(餘裕)가 있는 모양. 한가(閑暇)한 모양. 많은 모양.

 

 



번호 제     목 조회
446 王維[왕유] 秋夜曲[추야곡] 가을밤 노래 1823
445 金炳淵[김병연] 無題[무제] 죽 한 그릇 1714
444 金炳淵[김병연] 看山[간산] 산 구경 1771
443 金炳淵[김병연] 寒食日登北樓吟[한식일등북루음] 한식날 북루에 올라서 읊다 1612
442 金炳淵[김병연] 賞景[상경] 경치구경 1729
441 金炳淵[김병연] 過寶林寺[과보림사] 보림사를 거치다 1640
440 金炳淵[김병연] 落葉[낙엽] 낙화보다 더 슬퍼 1871
439 金炳淵[김병연] 落葉吟[낙엽음] 지는 잎 1708
438 金炳淵[김병연] 洛花吟[낙화음] 꽃이 지누나 1555
437 蘇軾[소식] 春夜[춘야] 봄밤 1998
436 杜甫[두보] 臘日[납일] 납일 1730
435 王安石[왕안석] 夜直[야직] 야간당직 1540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