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습감[習坎] ~ 습씨가[習氏家]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333  
♞습감[習坎] 험난함이 중첩된 것을 이름. 주역(周易) 감괘(坎卦)에 “습감은 신실함이 있어 마음으로 형통한다.[習坎有孚 維心亨]”하였다.
♞습기[習氣] 물(物)·심(心)의 온갖 현상이 그대로 나타나는 것을 이른다.
♞습등선사[襲燈禪師] 습등선사는 당(唐) 나라 등주(鄧州) 향엄산에 있던 지한선사(智閑禪師)의 시호인데, 법화(法化)가 성대하였다 한다.
♞습례조벌수[習禮遭伐樹] 공자가 조(曹) 나라를 떠나서 송(宋) 나라로 갔는데, 큰 나무 아래에서 예를 익히다가 송 나라의 사마환퇴(司馬桓魋)가 죽이려고 그 나무를 자르자 떠나갔다. <史記 卷47 孔子世家>
♞습매진[拾煤塵] 공자가 진(陳) 채(蔡) 사이에서 곤궁한 상황에 처했을 때, 안회(顔回)가 쌀을 얻어 밥을 짓던 중에 재가 솥 안으로 들어가자 이것을 버리기가 아까워 손으로 집어먹었는데[拾塵], 이 행동이 몰래 밥을 훔쳐먹는 것으로 오인(誤認)되어 의심을 받았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呂氏春秋 卷17 審分覽 任數>
♞습수임류[拾穗林類] 임류(林類)라는 사람이 나이 백세가 되었는데, 밭고랑에서 떨어진 벼이삭을 주우면서 노래를 하므로, 자공(子貢)이 탄식하여 말하기를 “선생은 조금도 뉘우침이 없이 가며 노래하며 이삭이나 줍고 계십니까?”하였으나, 임류는 계속 가면서 노래를 하였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列子 天瑞>
♞습씨가[習氏家] 진(晉) 나라 습욱(習郁). 그의 저택과 정원이 화려했고 특히 양어지(養魚池)가 있어 습가지(習家池), 일명 고양지(高陽池)로 유명했다.
 
 



번호 제     목 조회
353 가리[假吏] ~ 가림[嘉林] ~ 가매[假寐] 5104
352 송강왕[宋康王] ~ 송경문[宋景文] 5106
351 풍수부대[風樹不待] ~ 풍수통[風樹痛] 5108
350 수간개석준상고[須看介石遵常固] ~ 수간사마[授簡司馬] ~ 수거감우[隨車甘雨] 5108
349 주현[朱弦] ~ 주현백설[朱絃白雪] ~ 주현위군절[朱絃爲君絶] 5108
348 일지족[一枝足] ~ 일지춘[一枝春] ~ 일진일퇴[一進一退] 5109
347 회로[回老] ~ 회명[晦明] 5113
346 십력[十力] ~ 십묘지[十畝地] 5116
345 백구맹[白鷗盟] ~ 백구시[白駒詩] 5119
344 한강백[韓康伯] ~ 한걸[寒乞] 5121
343 곤외[閫外] ~ 곤우치수[鯀禹治水] 5122
342 장타유[張打油] ~ 장탕[張湯] ~ 장탕우거반[張湯牛車返] 5122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