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평악관[平樂觀] ~ 평원군[平原君]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07  
♞평악관[平樂觀] 한대(漢代) 각저희(角抵戱)의 별칭으로 각저(씨름)를 보는 장소를 말하기도 한다.
♞평안화[平安火] 당 나라 때 30리(里)마다 후(堠)를 설치하고 변방에 아무 탈이 없을 때 올리게 했던 봉화(烽火)를 말한다. 봉화는 평상시에 한 번, 적이 출현하면 두 번, 국경에 접근하면 세 번, 국경을 침범하면 네 번, 접전(接戰)하면 다섯 번을 올렸다.
♞평양부토[平陽負土] 당 나라 태종(太宗)이 고구려를 정벌하다가 안시성(安市城) 전투에서 패한 뒤 철수하면서 평양교(平陽橋)를 지날 적에 진창에 길이 막혀 전진할 수가 없었다. 이에 군사들을 시켜서 흙과 나무로 진창을 메우게 하였는데, 태종도 직접 흙과 나무를 등에 지고 날라서 메웠다고 한다. <新唐書 卷220 東夷列傳 高句麗>
♞평오[平吳] 진(晋) 나라 왕준(王濬)이 배를 타고 대군을 거느리고 가서 오(吳) 나라를 평정하였다.
♞평원군[平原君] 조나라 공자 조승(趙勝)을 말한다. 봉지(封地)가 평원(平原 : 지금의 산동성에 평원현(平原縣) 경내)에 있어 평원군(平原君)이라 했다. 무령왕(武靈王)의 아들이며 혜문왕(惠文王)의 동복(同腹) 동생이다. 혜문왕과 효성왕(孝成王)때 조나라의 상국을 역임했으며 천하의 선비들을 불러모아 그 문하에 있던 식객의 수가 3천 명에 달했다. 조나라가 장평(長平)에서 진나라와의 싸움에서 크게 패한 후에 진나라 군사들이 한단을 포위하자 한단성 안의 백성들과 군사들이 지쳐서 형세가 위급하게 되었다. 이에 평원군은 가산을 털어 백성들과 군사들을 독려하여 3년 동안 진나라 군사들의 포위공격을 막아냈다. 후에 위나라에는 사자를 보내 구원군을 청하게 하고, 자신은 빈객(賓客) 모수(毛遂) 등을 대동하고 원군을 청하기 위해 초나라에 갔다. 이윽고 위나라와 초나라가 원군을 동원하여 조나라를 구원하자 진나라는 한단성의 포위를 풀고 물러갔다. 모수가 자신이 자기를 추천하면서 했던 낭중지추(囊中之錐)라는 고사성어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번호 제     목 조회
341 한강백[韓康伯] ~ 한걸[寒乞] 5117
340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 ~ 일일장호[一日長乎] ~ 일자천금[一字千金] 5117
339 건곤감리[乾坤坎离] ~ 건공주불흔[巾空酒不痕] 5118
338 장타유[張打油] ~ 장탕[張湯] ~ 장탕우거반[張湯牛車返] 5119
337 쌍조[雙鳥] ~ 쌍주[雙珠] 5122
336 범택부가[泛宅浮家] ~ 범포한[范袍寒] 5124
335 장맥분흥[張脈憤興] ~ 장몽[掌夢] 5126
334 강항[强項] ~ 강항령[强項令] 5129
333 회남소산[淮南小山] ~ 회남왕[淮南王] 5129
332 요동학[遼東鶴] ~ 요락[搖落] ~ 요락일[搖落日] 5129
331 강한[江漢] ~ 강한조종[江漢朝宗] 5131
330 정지상[鄭知常] ~ 정참잠경개[停驂暫傾蓋] 5133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