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계가모불[笄加髦拂] ~ 계강자[季康子]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295  
♞계[禊] 음력 3월 3일, 불상(不祥)을 제거하기 위하여 불제(祓祭)를 지내고 목욕하는 것을 말한다.
♞계[啓] 하(夏)나라 우(禹)임금의 아들인데, 우가 죽은 뒤에 백성이 계(啓)의 덕을 구가(謳歌)하고 따랐다. 예종(睿宗)을 우(禹)에, 세자(世子)를 계(啓)에 비유하였다.
♞계가모불[笄加髦拂] 옛날에는 여자가 15세가 되면 요즘의 성인식처럼 계례(笄禮)를 치렀다. 이때 비녀를 꽂고 다비를 꾸미는데, 태어난 지 3개월 만에 배 안의 머리를 잘라 만든 다비를 계례 후에 수식으로 삼아 생육해주신 부모의 은혜를 잊지 않는 신표로 삼는다. <禮記 內則>
♞계각[鷄角] 계각은 닭 머리에 뿔이 난 것이니, 국가가 망하려면 반드시 요얼(妖孼)이 나타난다는 뜻으로, 흉조(凶兆)를 말한다. 구당서(舊唐書) 오행지(五行志)에 “함통(咸通) 6년 7월에 서주(徐州)의 팽성(彭城) 민가에 뿔이 난 닭이 났으니, 뿔은 전쟁이 일어날 징조이다.” 하였다.
♞계간[鷄竿] 옛날 조정에서 사면령(赦免令)을 내릴 적에는 칠척(七尺) 길이의 장대에 사척(四尺) 높이의 황금으로 장식한 닭 모양을 달고, 그 입에 척(尺) 길이의 붉은 천을 물린 것을 내세웠었다. <唐書 百官志>
♞계강금수[桂江錦水] 계강(桂江)은 일명 상수(湘水)로, 계림(桂林)에서 발원하여 동정호(洞庭湖)로 흘러들며, 금수(錦水) 즉 민강(岷江)은 양자강(揚子江)으로 흘러들어 결국 계강과 합류한다.
♞계강자[季康子] 태어난 해는 알 수 없고 기원전 468년에 죽은 춘추 때 노나라의 정경(正卿)이다. 희(姬) 성에 계손씨(季孫氏)에 이름은 비(肥)다. 노환공(魯桓公)으로부터 분가하여 노나라의 국정을 전단했던 삼환씨 중의 하나인 계손씨의 종주로 공자와 동시대를 살면서 노나라의 정경을 지냈다. 노애공(魯哀公) 3년 기원전 492년 계환자(季桓子 ; 계손사季孫斯)가 죽을 때 자기의 뒤를 태어난지 얼마 안 되는 서출에게 잇도록 유언했으나 계강자가 사람을 보내 그의 서출 동생을 죽이고 스스로 환자의 후계자가 되어 노나라의 정경의 자리에 올라 정권을 잡았다. 일찍이 공자의 제자 염구(冉求)와 번지(樊遲)의 도움을 받아 제나라 군사를 물리친 바 있으며 후에 오나라와 제나라 사이에 벌어진 애릉(艾陵)의 전투에 오나라 편으로 참전하여 제나라 군사들을 크게 파하고 제나라의 상국 국서(國書)를 전사시켰다. 노애공 12년 기원전 483년 용전부(用田賦)라는 법령을 반포하여 노나라의 세제를 개혁했다. 노애공 27년 기원전 468년에 죽었다.
 
 



번호 제     목 조회
5153 적재적소[適材適所] ~ 적제적룡[赤帝赤龍] 5310
5152 번간몽[墦間夢] ~ 번군[繁君] 5309
5151 슬갑도적[膝甲盜賊] ~ 슬해[瑟海] 5307
5150 가거식육[駕車食肉] ~ 가거정묘[家居丁卯] ~ 가계야치[家鷄野雉] 5306
5149 양지[兩地] ~ 양지삼천[兩地參天] ~ 양지양능[良知良能] 5305
5148 조위구억손[曹衛久抑損] ~ 조율이시[棗栗梨枾] 5304
5147 풍전[豐篆] ~ 풍중와룡[豊中臥龍] 5302
5146 계가모불[笄加髦拂] ~ 계강자[季康子] 5296
5145 순강실조추[蓴江失早秋] ~ 순갱로회[蓴羹鱸膾] 5295
5144 추곡[推轂] ~ 추기급인[推己及人] 5294
5143 상자[相者] ~ 상장[相將] 5293
5142 증예[烝乂] ~ 증유진[甑有塵] ~ 증점슬[曾點瑟] 5293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