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계녀[季女] ~ 계도[計都]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28  
♞계녀[季女] 계녀는 젊은 부인을 이른 말로, 시경(詩經) 소남(召南) 채빈(采蘋)에 “맛좋은 나물을 사당에 차리는데 이 일을 누가 주관하는고 공경스러운 계녀로다[于以奠之 宗室牖下 誰其尸之 有齊季女]” 한 데서 온 말이다.
♞계녀[季女] 막내 딸, 아리따운 신혼의 아내를 가리키는 말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차할(車舝)에 “수레의 굴대 빗장 빙글빙글 돌림이여, 예쁜 막내딸을 생각하여 감이로다.[間關車之舝兮 思變季女浙逝兮]”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 시는 신혼 부부의 즐거움을 노래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계년[笄年] 여자가 비녀를 꽂을 수 있는 나이. 옛날에 남자는 15세에 태학(太學)에 입학하였고, 여자는 15살만 먹으면 쪽을 올리고 비녀를 꽂았다. 그래서 계년(笄年)이라면 곧 15세 정도의 소녀를 말하는 것으로 시집갈 나이가 되었음을 뜻한다. 가계(加笄). 관례(冠禮).
♞계당수불계[溪堂修祓禊] 계당은 시냇가에 있는 정자를 말한다. 계제사는 3월 삼짇날 물가에 가서 흐르는 물에 목욕하고 신께 빌어 재앙을 없애고 복을 기원하는 풍속인데, 흔히 문인들이 3월 삼짇날 물가에 모여 시를 짓고 술을 마시며 즐기는 일을 가리킨다.
♞계도[桂櫂] 계도는 계수나무로 만든 노로서 고상한 은자(隱者)의 상징이다. 楚辭 九歌 湘君에 “계목의 노와 난목의 갑판으로 얼음으로 깨고 저어가도 눈이 곧 쌓이누나[桂櫂兮蘭枻 斲氷兮續雪]” 하였다.
♞계도[計都] 성명가(星命家)에서 말하는 십일요(十一曜)의 하나로, 즉 18년 만에 하늘을 일주(一週)한다고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353 가리[假吏] ~ 가림[嘉林] ~ 가매[假寐] 5104
352 송강왕[宋康王] ~ 송경문[宋景文] 5106
351 풍수부대[風樹不待] ~ 풍수통[風樹痛] 5108
350 수간개석준상고[須看介石遵常固] ~ 수간사마[授簡司馬] ~ 수거감우[隨車甘雨] 5108
349 주현[朱弦] ~ 주현백설[朱絃白雪] ~ 주현위군절[朱絃爲君絶] 5108
348 일지족[一枝足] ~ 일지춘[一枝春] ~ 일진일퇴[一進一退] 5109
347 회로[回老] ~ 회명[晦明] 5113
346 십력[十力] ~ 십묘지[十畝地] 5116
345 백구맹[白鷗盟] ~ 백구시[白駒詩] 5119
344 한강백[韓康伯] ~ 한걸[寒乞] 5121
343 곤외[閫外] ~ 곤우치수[鯀禹治水] 5122
342 장타유[張打油] ~ 장탕[張湯] ~ 장탕우거반[張湯牛車返] 5122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