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강포[江鮑] ~ 강하황동[江夏黃童]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490  
♞강포[江鮑] 강엄과 포조. 강엄은 남조(南朝) 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이고, 포조도 역시 남조 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이다.
♞강피[姜被] 강굉(姜肱)의 이불. 형제간의 우애를 뜻한다. 후한(後漢) 때 강굉(姜肱)이 나이 젊은 계모(繼母)를 섬기면서, 내실(內室)에는 들어가지 않고 아우인 중해(仲海)·계강(季江)과 화목하게 한 이불을 덮고 잤다고 한다. <後漢書 卷53 姜肱傳>
♞강피난[姜被暖] 강씨(姜氏)는 후한(後漢) 때의 명사 강굉(姜肱)은 그의 아우 중해(仲海)·계강(季江)과 우애가 지극하여 한 이불을 같이 덮었다 한다.
♞강필[江筆] 훌륭한 시문을 비유한 말이다. 강필은 양(梁) 나라 때의 문장가인 강엄(江淹)의 붓이란 뜻으로, 그가 일찍이 곽박(郭璞)에게서 오색필(五色筆)을 받아 문명(文名)을 크게 떨쳤다가 뒤에 꿈에 그 붓을 다시 돌려주고는 문재(文才)가 상실되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梁書 卷十四>
♞강하[江夏] 장강과 하수를 말한다.
♞강하류만고[江河流萬古] 문장을 말한다. 두보의 시에 “不廢江河萬古流”라 하였다.
♞강하황동[江夏黃童] 총명하고 박학하여 재주가 넘치는 사람을 칭송하는 말이다. 후한(後漢) 때 사람인 황향(黃香)은 자가 문강(文强)인데, 어려서 모든 서책을 두루 보아 읽지 않은 책이 없었으며, 특히 천문(天文), 역법(曆法), 음악(音樂) 등을 좋아하여 박문강기(博聞强記)하였으므로 사람들이 ‘천하무쌍 강하황동(天下無雙江夏黃童)’이라고 칭하였다. 뒤에 장제(章帝)가 황향에게 동관(東觀)에 있으면서 미처 보지 못한 서책을 보게 하자, 천하 사람들이 모두 우러르면서 칭송하였다. <東觀漢記 黃香>
 
 



번호 제     목 조회
881 가생가도[賈生賈島] ~ 가생통한[賈生痛漢] 4490
880 갈심진[渴心塵] ~ 갈지진충[竭知盡忠] 4491
879 강포[江鮑] ~ 강하황동[江夏黃童] 4491
878 개롱장[開壟匠] ~ 개문읍도[開門揖盜] 4491
877 청허부[淸虛府] ~ 청혜포말[靑鞋布襪] 4494
876 대수[大隧] ~ 대수장군[大樹將軍] 4498
875 적막[適莫] ~ 적묘[籍畝] 4500
874 좌어[左魚] ~ 좌유혜경우유확[左有惠卿右有確] 4502
873 행조은후정[行調殷后鼎] ~ 행진[行塵] 4504
872 임우[霖雨] ~ 임원육실[臨沅六實] ~ 임제[臨濟] 4505
871 부열[傅說] ~ 부열기기[傅說騎箕] ~ 부열조갱[傅說調羹] 4506
870 두방[杜房] ~ 두보배두견[杜甫拜杜鵑] 4507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