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부봉[附鳳] ~ 부부가[拊缶歌] ~ 부비엽[鳧飛葉]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355  

♞ 부봉[附鳳] 봉과 용(龍)을 성철(聖哲) 또는 영주(英主)에 비유하여, 제자가 성철(聖哲)로 인하여 이름을 전하거나, 신하가 영주(英主)를 좇아 공업을 세움을 “용을 휘어잡아 따르고, 봉에 붙어 따른다[攀龍鱗 附鳳翼]”라고 한다. <後漢書 光武帝紀>

♞ 부부[敷敷] 넓게 이어져 있는 모양.

♞ 부부[扶扶] 소아의 어린 모양.

♞ 부부가[拊缶歌] 한 선제(漢宣帝) 때 평통후(平通侯) 양운(楊惲)이 죄에 걸려 폐서인(廢庶人)이 된 후로는, 죄를 받은 데에 불만을 품고 열심히 농사를 지어 산림을 일으키면서 자기 친구인 손회종(孫會宗)에게 답한 편지에 “농사짓는 일이 무척이나 수고롭기에 세시 복랍(歲時伏臘)이 되면 양(羊)을 삶아 안주로 삼고 두주(斗酒)를 마시어 스스로 위로하고, 술이 거나해지면 하늘을 우러러 질장구를 치고 노래를 들으며 즐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漢書 卷六十六>

♞ 부부유별[夫婦有別] 오륜(五倫)의 하나로,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인륜상(人倫上) 서로 침범하지 못할 구별이 있다는 말.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이 있어야 한다. 남편은 남편으로서의 일과 아내는 아내로서의 일의 분별이 있어야 함을 뜻한다.

♞ 부부자자[父父子子] 아버지는 아버지 노릇을 하고 아들은 아들 노릇을 한다.

♞ 부불능득어자[父不能得於子] 아비로도 능히 자식을 제어하지 못한다.

♞ 부비엽[鳧飛葉] 후한 현종(後漢顯宗) 때에 왕교(王喬)가 섭현의 원[葉令]이 되었는데, 신술(神術)이 있어 매월 초하루에 대(臺)에 나와 조회하였다. 임금이 그가 자주 오는 것을 괴이하게 여기어 엿보니 올 때에 쌍오리가 동남쪽에서 날아왔다. 그물을 쳤으나 다만 한 쌍의 신을 얻었다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793 천개지열[天開地裂] ~ 천거과[薦擧科] ~ 천견고사진월행[天遣孤楂趁月行] 2347
4792 욕좌목후도사해[欲佐沐猴圖四海] ~ 욕청장영[欲請長纓] ~ 용가방[龍哥榜] 2348
4791 홍홍[泓泓]~홍화[弘化]~화각[畫角]~화간[禾竿]~화간[花間] 2349
4790 내공[乃公] ~ 내구붕[耐久朋] ~ 내농작[內農作] 2350
4789 비굉원우[碑轟元祐] ~ 비구절[臂九折] ~ 비극당위태[否極當爲泰] 2351
4788 처음식영[處陰息影] ~ 처제[妻齊] ~ 처중[處仲] 2352
4787 원류[源流] ~ 원명[元明] ~ 원묘[原廟] 2353
4786 척지금성[擲地金聲] ~ 척지신성우설배[擲地新聲虞薛輩] ~ 척척[戚戚] 2354
4785 부봉[附鳳] ~ 부부가[拊缶歌] ~ 부비엽[鳧飛葉] 2356
4784 방삭[方朔] ~ 방삭삼천독[方朔三千牘] ~ 방삭포삼도[方朔飽三桃] 2357
4783 대보[大寶] ~ 대부강복[大夫降服] ~ 대부작부등고지[大夫作賦登高地] 2359
4782 문원갈[文園渴] ~ 문원봉황곡[文園鳳凰曲] ~ 문원억매[文園憶梅] 2359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