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부익[附翼] ~ 부인기원야[不忍棄原野] ~ 부자필변[夫子必變]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567  

부익[附翼] 후환서(後漢書) 광무기(光武紀)지금 여러 사람이 온갖 위험을 무릅쓰고 대왕을 따르는 것은 용의 비늘을 더위잡고 봉의 날개에 붙어 그 뜻한 바를 이루려 함입니다.”라고 하였다.

부인기원야[不忍棄原野] 전자방(田子方)은 전국 시대 때 위 문후(魏文侯)의 스승이었던 현인(賢人)이다. 일찍이 들판에 버려지려고 하는 늙은 말을 보고는 말하기를 힘 있을 때 마구 부려먹고는 늙고 병들자 내팽개치는 것은 인자(仁者)가 차마 할 수 없는 일이다.”라 하고, 속백(束帛)을 주고 데려왔는데, 이에 궁사(窮士)들이 심복하며 귀의하였다고 한다. <淵鑑類函 卷433 馬部>

부자[鳧茈] 오우(烏芋), 즉 올방개로 오리가 잘 캐먹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부자[夫子] 자네의 뜻이다.

부자유친[父子有親] 오륜(五倫)의 하나로, 부모와 자식의 도()는 친애(親愛)에 있다는 말. 가정윤리의 실천덕목인 오륜(五倫)의 하나이다.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다. , 아버지와 아들의 도리는 친애함에 있음. 부모는 자녀를 사랑하고, 자녀는 부모를 공경하여 그 사이에 진정한 친애의 정이 이루어짐을 이른다.

부자장[夫子墻] 자공(子貢)이 자신의 담장 높이는 어깨 높이이고, 부자의 담장은 몇 길이나 된다고 하였다. <論語 子張>

부자필변[夫子必變] 논어(論語) 향당(鄕黨)빠른 우레 맹렬한 바람이 일면 공자가 반드시 낯빛을 변하였다.”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737 초삽[苕霅] ~ 초삽종래[苕霅從來] ~ 초상[椒觴] 2577
736 채택[蔡澤] ~ 채팽윤[蔡彭胤] ~ 채필무공[彩筆無功] 2576
735 주장함하양잠려[珠藏頷下養潛驪] ~ 주저[朱邸] ~ 주전학[州錢鶴] 2575
734 삼장[三藏] ~ 삼장[三章] ~ 삼장사[三壯士] 2574
733 연촉귀송[蓮燭歸] ~ 연촉분휘[蓮燭分輝] ~ 연탁한사절[燕 2574
732 율리시붕[栗里詩朋] ~ 율복[栗腹] ~ 율시[律詩] 2574
731 삼연[三淵] ~ 삼연옹[三淵翁] ~ 삼연유사[三椽遺事] 2573
730 북문시[北門詩] ~ 북비미[北鄙靡] ~ 북산령[北山靈] 2571
729 응벽지[凝碧池] ~ 응빙초화[凝氷焦火] ~ 응숙[應宿] 2570
728 부암[傅岩] ~ 부앙불참[俯仰不慚] ~ 부여[夫如] 2568
727 부익[附翼] ~ 부인기원야[不忍棄原野] ~ 부자필변[夫子必變] 2568
726 서목[鼠目] ~ 서문루[西門淚] ~ 서미[胥靡] 2566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