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북당훤[北堂萱] ~ 북두불가읍[北斗不可挹] ~ 북등선우대[北登單于臺]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88  

북당훤[北堂萱] 위풍(衛風) 백혜(伯兮)어디서 원추리 하나 얻어, 집 뒤켠에 심어 볼꼬[焉得萱草 言樹之背]”라는 말이 나오는데, 여기에서 모친의 거처를 북당(北堂) 혹은 훤당(萱堂)이라고 하게 되었다.

북두[北斗] 북두칠성(北斗七星)을 가리키는 말. 북두칠성이 모든 별들의 중심적인 존재로 받들어지고 있는 데서 남에게 존경받는 훌륭한 인물에 비유하고 있다.

북두남기[北斗南箕] 시경(詩經) 소아(小雅) 대동(大東)남쪽엔 키라는 별이 있으나 곡식을 까부르지 못하고 북쪽엔 말이라는 별이 있으나 주장을 뜰 수가 없도다[維南有箕 不可以簸揚 維北有斗 不可以把漿]”라고 하였다.

북두불가읍[北斗不可挹] 북두는 임금을 상징한 것으로, 여기서는 요로(要路)에 올라 임금을 가까이 모시지 못한 것을 비유한 말이다.

북두우[北斗牛]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북방의 두성과 우성이다.

북두작창명[北斗酌滄溟] 북두성(北斗星)이 말[] 모양으로 생겼으므로 그것으로 바닷 물을 푸겠다는 말이다.

북등선우대[北登單于臺] 한 무제(漢武帝)18만 병력을 직접 이끌고 장성(長城)을 나와 북쪽으로 가서 선우대에 올랐던 것을 가리킨다. 한서(漢書) 무제기(武帝紀)元封 元年 冬十月 …… 行自雲陽 北歷上郡西下五原 出長城 北登單于臺라는 기록이 있다. 선우대는 지금의 수원성(綏遠省) 귀화성(歸化城) 서쪽에 있다고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469 분서갱유[焚書坑儒] ~ 분섬[分陝] ~ 분속[奔屬] 2688
4468 분진[汾津] ~ 분포선중청[湓浦船中聽] ~ 분포청시사마읍[湓浦聽時司馬泣] 2688
4467 면복[冕服] ~ 면산은[綿山隱] ~ 면상은[綿上隱] 2689
4466 북당훤[北堂萱] ~ 북두불가읍[北斗不可挹] ~ 북등선우대[北登單于臺] 2689
4465 육경교외거[六卿郊外去] ~ 육과생관[陸果生棺] ~ 육구몽[陸龜蒙] 2689
4464 초구현장[楚丘縣長] ~ 초국석위손[楚菊夕爲飱] ~ 초균[楚均] 2689
4463 서하(西河] ~ 서하삭거[西河索居] 2693
4462 초곡[焦穀] ~ 초관우철선[貂冠又綴蟬] ~ 초교서[焦校書] 2695
4461 초신비[楚臣悲] ~ 초신음택반[楚臣吟澤畔] ~ 초심일촌보춘휘[草心一寸報春暉] 2695
4460 부개[瓿蓋] ~ 부견[苻堅] ~ 부견편[符堅鞭] 2701
4459 원공당[遠公堂] ~ 원공재광산[遠公在匡山] ~ 원관송채[園官送菜] 2703
4458 원문[轅門] ~ 원반[鵷班] ~ 원방시태구[元方侍太丘] 2703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