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사제동행[師弟同行] ~ 사제조슬[仕齊操瑟] ~ 사조[射潮]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359  

사제동행[師弟同行] 스승과 제자가 함께 간다는 뜻으로, 스승과 제자가 한 마음으로 배워나간다는 의미라서 학교에서 사제가 함께 하는 교육활동의 총칭으로 사용된다.

사제로[沙堤路] 재상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나라 때의 풍속에 처음으로 재상이 된 사람은 그의 사제(私第)에서부터 성 동쪽 거리까지 모래로 길을 메웠는데, 그것을 일러 모래둑[沙堤]이라고 하였다.<唐故事>

사제조슬[仕齊操瑟] 제왕(齊王)이 비파를 싫어하는데, 제 나라에 벼슬하려는 사람이 비파를 가지고 문에 서 있는 지 3년이 되어도 들어가지 못했다. 객이 꾸짖기를 왕은 피리를 좋아하는데 자네가 비파를 치니, 비파는 잘 쳐도 왕이 싫어함을 어쩌랴.”라고 하였다.

사조[姒姚] 조사(姚姒)를 거꾸로 쓴 것으로, ()는 하우(夏禹)의 성(), ()는 우순(虞舜)의 성, (()성군(聖君) 때 말씀과 글.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위로 조와 사를 엿보건대 아득히 가이 없다[上規姚姒 渾渾無涯]”라고 하였다.

사조[謝眺] 남제(南齊) 사람. 자는 현휘(玄暉)이다. 시인(詩人). 특히 오언시(五言詩)를 잘 지어 시가 청아하고 아름다웠으며 글씨도 잘 썼다. 일찍이 선성 태수(宣城太守)로 있을 적에 산 남쪽에 높은 누대(樓臺)를 짓고 앞 산의 경치를 감상하였으므로, 후대에 이 누대를 사공루(謝公樓), 사루(謝樓)라 하고 그 산 이름을 사공산(謝公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고사가 있다. <南齊書 卷47 謝眺列傳> 참고로 이백(李白)의 시 제동계공유거(題東溪公幽居)청산과 가까운 집 사조와 한가지요, 푸른 버들 드리운 문 도연명과 흡사하네[宅近靑山同謝朓 門垂碧柳似陶潛]”라는 표현이 있다.

사조[射潮] 북몽쇄언(北夢瑣言)항주(杭州)에 해마다 조수가 밀려들므로 오월왕(吳越王) 전유(錢鏐)가 궁노(弓弩)를 설치하였다가 조수가 밀려들 적에 쏘니, 조수가 물러가 육지가 되었다.”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793 발거[拔去] ~ 발내포[鉢內布] ~ 발도[拔都] 2342
4792 천개지열[天開地裂] ~ 천거과[薦擧科] ~ 천견고사진월행[天遣孤楂趁月行] 2343
4791 욕좌목후도사해[欲佐沐猴圖四海] ~ 욕청장영[欲請長纓] ~ 용가방[龍哥榜] 2346
4790 내공[乃公] ~ 내구붕[耐久朋] ~ 내농작[內農作] 2347
4789 처음식영[處陰息影] ~ 처제[妻齊] ~ 처중[處仲] 2348
4788 비굉원우[碑轟元祐] ~ 비구절[臂九折] ~ 비극당위태[否極當爲泰] 2349
4787 원류[源流] ~ 원명[元明] ~ 원묘[原廟] 2350
4786 척지금성[擲地金聲] ~ 척지신성우설배[擲地新聲虞薛輩] ~ 척척[戚戚] 2351
4785 방삭[方朔] ~ 방삭삼천독[方朔三千牘] ~ 방삭포삼도[方朔飽三桃] 2354
4784 부봉[附鳳] ~ 부부가[拊缶歌] ~ 부비엽[鳧飛葉] 2354
4783 문원갈[文園渴] ~ 문원봉황곡[文園鳳凰曲] ~ 문원억매[文園憶梅] 2356
4782 대보[大寶] ~ 대부강복[大夫降服] ~ 대부작부등고지[大夫作賦登高地] 2357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