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응점덕성취[應占德星聚] ~ 응접불가[應接不暇] ~ 응진[應眞]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453  

응점덕성취[應占德星聚] 참석한 사람들 모두가 어진 덕을 지닌 현인(賢人)이라는 말이다. 후한(後漢)의 명사(名士) 진식(陳寔)이 자제들을 이끌고 순숙(荀淑) 부자(父子)를 찾아갔을 때 하늘에 덕성이 모이는 천문 현상이 일어났다는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德行>

응접불가[應接不暇] 여유가 없을 만큼 매우 바쁜 상황이라는 뜻이다. 세설신어(世說新語) 언어편(言語篇)왕자경이 산음의 길을 좇아 오르다 보면, 산천은 서로 비추어 반짝이는 것이 갈수록 아름다워 사람에게는 응대할 겨를을 주지 않는다. 만약 가을이나 겨울이면 더욱 마음에 품기가 어렵다고 하였다.[王子敬云 山川自相映發 使人應接不暇 若秋冬之際 尤難爲懷]”라고 하였다. ()나라 때 왕희지(王羲之)와 함께 이왕(二王) 가운데 한사람인 왕헌지(王獻之)는 자가 자경이다. 그는 서예가이자 문필가로 벼슬이 중서령(中書令)에 올랐다. 어느 날 그가 회계산(會稽山) 북쪽의 산음을 여행한 적이 있는데, 그때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것이 위의 글이다.

응진[應眞] 범어(梵語)인 나한(羅漢)을 의역(意譯)한 말로, 진도(眞道)를 터득한 사람을 뜻하는데, 손작(孫綽)유천태산부(遊天台山賦)’응진이 석장(錫杖)을 날려 허공을 밟고 다닌다.[應眞飛錫以躡虛]”는 표현이 있다.

응창[應瑒] 삼국시대 건안칠자(建安七子)의 하나로 뛰어난 문장으로 조조(曹操) 부자(父子)의 예우를 받았다.

응천[凝川] 밀양(密陽)의 고호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733 일제[日躋] ~ 일조수항류[一朝輸項劉] ~ 일주관[一柱觀] 2446
4732 녹야별업[綠野別業] ~ 녹야장[綠野庄] ~ 녹엽성음[綠葉成陰] 2447
4731 이금[泥金] ~ 이금오[李金吾] ~ 이기[李寄] 2447
4730 천군만마[千軍萬馬] ~ 천균[千鈞] ~ 천귤[千橘] 2447
4729 사도[師道] ~ 사도운[謝道韞] ~ 사돈팔촌[査頓八寸] 2450
4728 녹옥수[綠玉樹] ~ 녹운의[綠雲衣] ~ 녹위이추[鹿危而趨] 2451
4727 사재[四載] ~ 사전의발[師傳衣鉢] ~ 사전춘추[四傳春秋] 2451
4726 이경[離經] ~ 이경양전[二頃良田] ~ 이경전[二頃田] 2452
4725 반점[反坫] ~ 반제매형[礬弟梅兄] ~ 반직[伴直] 2454
4724 응점덕성취[應占德星聚] ~ 응접불가[應接不暇] ~ 응진[應眞] 2454
4723 어이기상사[魚以寄相思] ~ 어이명[御李名] ~ 어인쌍획[漁人雙獲] 2456
4722 만안[脕顔] ~ 만용[曼容] ~ 만용관과[曼容官過] 2457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