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이수[李需] ~ 이수[二豎] ~ 이수전[二竪纏]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181  

이수[李需] 고려의 문신. 자는 낙운(樂雲).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다. 당시 문장 이규보(李奎報)와 매우 친절했다.

이수[貍首] 이수는 일시(逸詩)의 편명인데, ()는 오지 않다[不來]의 뜻으로, 천자국에 내조(來朝)하지 않은 제후(諸侯)의 머리를 쏘아 버린다는 내용을 담은 악장인바, 이는 제후들이 활을 쏠 때에 부르던 노래였다고 한다.

이수[李叟] 이이(李耳). 노자(老子)를 말한다.

이수[二豎] 이수(二豎)는 곧 두 아이로 화신(化身)한 병마(病魔)를 가리킨다. 춘추좌전(春秋左傳) 성공(成公) 10년 조()진후(晉侯)가 병이 나서 진() 나라에서 의원을 구하였는데, 진백(秦伯)이 의원을 보내었다. 의원이 도착하기 전에 진후가 꿈을 꾸었는데, 꿈 속에서 병이 두 어린아이[二豎]로 화해 말하기를, ‘저 어진 의원이 우리를 해칠까 두렵다.’ 하니, 그중 하나가 말하기를, ‘()의 위, ()의 아래에 숨으면 우리를 어쩌겠는가.’ 하였다. 의원이 이르러서는 말하기를, ‘병을 고칠 수가 없습니다. 황의 위, 고의 아래에 숨어 있어서 공격하려 해도 할 수가 없고 도달하려 해도 할 수가 없어서 약이 거기까지 도달하지 못하니 고칠 수가 없습니다.’라고 하였다.”고 하였다.

이수시[貍首詩] 일시(逸詩)에 빠진 시의 편명인데, 모두 2장이다. 하나는 예기(禮記)에 보이고 하나는 대대례기(大戴禮記)에 보인다. 곤학기문(困學記聞)활쏘기를 명하는 시다.”라고 하였다.

이수전[二竪纏] 불치(不治)의 병에 걸렸다는 말이다. 옛날 꿈속에서 더벅머리 사내 둘[二竪]이 황()의 위와 고()의 아래에 숨어 들어가자 양의(良醫)도 손을 쓸 수 없었다는 고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春秋左傳 成公 10>

 

 



번호 제     목 조회
4445 이신위마[以神爲馬] ~ 이실[貳室] ~ 이십번풍[二十番風] 3282
4444 이시애[李施愛] ~ 이식[耳食] ~ 이신[李紳] 2749
4443 이숙황량[已熟黃粱] ~ 이순[耳順] ~ 이시수[二始守] 3292
4442 이수[李需] ~ 이수[二豎] ~ 이수전[二竪纏] 4182
4441 이소부[離騷賦] ~ 이소원[離騷怨] ~ 이소향초[離騷香草] 5287
4440 이소걸해도[二疏乞骸圖] ~ 이소경삼[離騷徑三] ~ 이소공기굴평애[離騷空寄屈平哀] 2554
4439 이세민[李世民] ~ 이소[離騷] ~ 이소[二疏] 4386
4438 이선[珥蟬] ~ 이선유감시[履善有感詩] ~ 이성[犂星] 2446
4437 이상[履霜] ~ 이상동몽[異床同夢] ~ 이상질[李尙質] 2419
4436 이사성[貳師城] ~ 이사훈[李思訓] ~ 이산[移山] 3185
4435 이사구[二寺狗] ~ 이사부[異斯夫] ~ 이사상동문[李斯上東門] 2482
4434 이두[螭頭] ~ 이두란[李豆蘭] ~ 이락[伊洛] 394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