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이호미[履虎尾] ~ 이홍[泥鴻] ~ 이홍유적[泥鴻遺跡]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638  

이호[二豪] 두 호걸. 귀개공자(貴介公子)와 진신처사(縉紳處士)를 말한다. 유백륜(劉伯倫)의 주덕송(酒德頌)옆에 있는 두 호걸을 마치 작은 벌레같이 본다.”고 하였다.

이호미[履虎尾] 주역(周易) 이괘(履卦) 육삼효(六三爻)호랑이 꼬리를 밟아 호랑이에게 물리니 흉하다.[履虎尾 咥人 凶]”는 말이 나온다.

이호민[李好閔] 자는 효언(孝彦)이고 호는 오봉(五峯)이다.

이호시측유명령[二豪侍側猶螟蛉] () 나라 유령(劉伶)주덕송(酒德頌)’술 취한 대인 선생(大人先生) 옆에 두 호걸이 모시고 섰는데, 그 모습이 마치 나나니벌[蜾蠃]과 배추벌레[螟蛉] 같았다.”는 말이 있다.

이홍[泥鴻] 본디 돌아가는 기러기가 다시 올 때의 목표로 눈 녹은 진흙 위에 남겨둔 발자국이, 다시 돌아올 때에는 형적이 없어 찾을 길이 없게 된다는 설니홍조(雪泥鴻瓜)에서 온 말로, 과거의 사적이 흔적도 남지 않고 없어짐을 비유한 말이다. 분류동파시(分類東坡詩) 16 화자유민지회구(和子由澠池懷舊)인생살이 가는 곳은 알괘라 어떠한고, 눈녹은 물을 밟은 기러기와 흡사하리. 눈 위에 우연하게 발자국을 남긴 뒤에, 기러기 날아가면 동서쪽을 어찌 알리.[人生到處知何似 應似飛鴻踏雪泥 泥上偶然留指爪 鴻飛那復計東西]”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이홍반[二紅飯] 원래 대맥(大麥)과 소홍두(小紅豆)를 섞어서 지은 밥을 말한다.

이홍유적[泥鴻遺跡] 분류동파시(分類東坡詩) 16 화자유민지회구(和子由澠池懷舊)인생살이 이르는 곳 무엇과 비슷한고 나는 기럭 눈 진펄 밟는 것과 같으리니 진펄 위에 우연히 발톱자국 남긴 뒤에 기럭 날아가버리면 동서를 어찌 분간하리.[人生到處知何似 應似飛鴻踏雪泥 泥上偶然留指瓜 鴻飛那復計東西]”에서 나온 것으로, 현재 함께 어울려 즐기는 일이 나중에 허무하게 흔적만 남을 것이라는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481 인과응보[因果應報] ~ 인구회자[人口膾炙] ~ 인궁잠축제잠비[鱗窮暫縮蹄涔卑] 4379
4480 인거희[人去稀] ~ 인경등여두[藺卿膽如斗] ~ 인공자취서계[引公子就西階] 2233
4479 인가문적루[隣家聞笛淚] ~ 인가적[隣家笛] ~ 인각도형[麟閣圖形] 2431
4478 익자삼우[益者三友] ~ 익주몽[益州夢] ~ 익퇴조[鷁退潮] 2486
4477 익겸[益謙] ~ 익로[鷁路] ~ 익수[鷁首] 2500
4476 이환[泥丸] ~ 이효위충[移孝爲忠] ~ 이흘[李忔] 4830
4475 이화[籬花] ~ 이화노제[里化魯齊] ~ 이화창[梨花槍] 2962
4474 이호미[履虎尾] ~ 이홍[泥鴻] ~ 이홍유적[泥鴻遺跡] 3639
4473 이협[梨頰] ~ 이형거인천류창[羸形去認泉流漲] ~ 이혜간[夷惠間] 2786
4472 이합시[離合詩] ~ 이합집산[離合集散] ~ 이현령 비현령[耳懸令 鼻懸令] 4718
4471 이하[李賀] ~ 이하경[李下徑] ~ 이하방[圯下方] ~ 이하부정관[李下不整冠] 3125
4470 이포새[伊蒲塞] ~ 이포찬[伊蒲饌] ~ 이필귀산[李泌歸山] 382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