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이환[泥丸] ~ 이효위충[移孝爲忠] ~ 이흘[李忔]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32  

이환[泥丸] 지세(地勢)가 험준하여 강토를 지킬 만한 요새를 말한다. 후한(後漢) 왕망(王莽) 말기에 외효(隗囂)의 장수 왕원(王元)하나의 흙덩어리를 가지고 가서 대왕을 위해 함곡관을 봉해 버리겠다.[元請以一丸泥 爲大王 東封函谷關]”고 말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後漢書 卷13>

이환도내동[夷歡道乃東] 기자는 성덕(聖德)이 있었으므로 그가 우리나라에 오자 성인의 도가 퍼졌음을 말한 것이다.

이황[蜊蝗] 석화(石花)를 가리키는 말. 곧 굴조개를 말한다.

이황[李滉]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로 찬성까지 되었으며 70세의 나이로 죽었다.

이효위충[移孝爲忠] 효경(孝經)군자는 어버이에 대해 효성을 다 바치기 때문에, 나라에 대해서도 그처럼 충성을 다 바칠 수 있는 것이다.[君子之事親孝 故忠可移於君]”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이후[李侯] ()는 지금의 하남성 온현(溫縣) 서남의 고을이다.

이후주[李後主] 오대(五代) 때 남당(南唐)의 임금. 이름은 욱(), 자는 중광(重光). 문장과 서화에 뛰어났다.

이흘[李忔] 인조 7(1629)에 진하사(進賀使)의 사명을 받고서 동지사(冬至使) 윤안국(尹安國)과 함께 배를 타고 가다가 폭풍을 만나 윤안국은 익사하고 그만 홀로 상륙하여 사신의 임무를 수행한 뒤 갑자기 병에 걸려 옥하관(玉河館)에서 죽었다. <國朝人物考 行狀>

이희열[李希烈] 당 덕종 때 반란을 일으킨 역적.

 

 



번호 제     목 조회
4481 인과응보[因果應報] ~ 인구회자[人口膾炙] ~ 인궁잠축제잠비[鱗窮暫縮蹄涔卑] 4379
4480 인거희[人去稀] ~ 인경등여두[藺卿膽如斗] ~ 인공자취서계[引公子就西階] 2233
4479 인가문적루[隣家聞笛淚] ~ 인가적[隣家笛] ~ 인각도형[麟閣圖形] 2432
4478 익자삼우[益者三友] ~ 익주몽[益州夢] ~ 익퇴조[鷁退潮] 2487
4477 익겸[益謙] ~ 익로[鷁路] ~ 익수[鷁首] 2501
4476 이환[泥丸] ~ 이효위충[移孝爲忠] ~ 이흘[李忔] 4833
4475 이화[籬花] ~ 이화노제[里化魯齊] ~ 이화창[梨花槍] 2962
4474 이호미[履虎尾] ~ 이홍[泥鴻] ~ 이홍유적[泥鴻遺跡] 3639
4473 이협[梨頰] ~ 이형거인천류창[羸形去認泉流漲] ~ 이혜간[夷惠間] 2787
4472 이합시[離合詩] ~ 이합집산[離合集散] ~ 이현령 비현령[耳懸令 鼻懸令] 4719
4471 이하[李賀] ~ 이하경[李下徑] ~ 이하방[圯下方] ~ 이하부정관[李下不整冠] 3126
4470 이포새[伊蒲塞] ~ 이포찬[伊蒲饌] ~ 이필귀산[李泌歸山] 382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