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일중구오[日中九烏] ~ 일지건곤[一指乾坤] ~ 일지선[一指禪]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66  

일중구오[日中九烏] () 시대에 해[]가 열개나 생겨나니 초목이 타고 마르므로 활 잘 쏘는 예(羿)를 시켜서 아홉 해를 쏘아서 떨어뜨렸는데, 해 가운데 세발 까마귀[三足鳥]가 들어 있었다 한다.

일지[壹志] 뜻이 한결같다.

일지[一枝] 뱁새가 깊은 숲에 둥우리를 짓는 데 있어 필요한 것은 나뭇가지 하나에 불과하다는 데서 온 말로, 전하여 자신의 분수를 뜻한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넓은 숲 속에서 새가 차지하는 보금자리는 나뭇가지 하나에 불과하다.[鷦鷯巢於深林 不過一枝]”고 하였다.

일지[一指]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곽상주(郭象注)지인(知人)은 천지(天地)가 한 개의 손가락이고 만물이 한 필의 말[]임을 안다[天地一指也 萬物一馬也]. 그러므로 호연(浩然)히 영정(寧定)되어 천지 만물이 그 분위(分位)를 얻고 자득(自得)에 동일(同一)하여 시()도 비()도 없다.”고 하였다.

일지건곤[一指乾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천지는 하나의 손가락이요, 만물은 하나의 말[]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일지상관[一枝尙寬] “뱁새()는 깊은 수풀에 집을 지어도 한 가지[]로 짓는다.”고 하였다. <莊子>

일지선[一指禪] 전등록(傳燈錄) 금화구지전(金華俱胝傳)어느 중이 천룡을 찾아가니 천룡이 손가락 하나를 세워 법을 보여주므로 중은 크게 깨쳤다. 그는 죽으면서 하는 말이 나는 천룡 일지두선(一指頭禪)을 얻어서 일생을 못다 먹고 간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829 자장포궤[子張鋪几] ~ 자전무고[紫電武庫] ~ 자조[煮棗] 4863
4828 백타[白墮] ~ 백토공[白兎公] 4862
4827 객반위주[客反爲主] ~ 객사[客舍] 4862
4826 중상모략[中傷謀略] ~ 중상지기[仲翔知己] ~ 중서삼책[仲舒三策] 4862
4825 거일명삼[擧一明三] ~ 거재두량[車載斗量] 4861
4824 고담준론[高談峻論] ~ 고당신몽[高唐神夢] 4859
4823 강좌이오[江左夷吾] ~ 강주사마루천행[江州司馬淚千行] 4857
4822 비인부전[非人不傳] ~ 비입허무장[飛入虛無藏] 4856
4821 회우[回愚] ~ 회음표모[淮陰漂母] 4855
4820 간고[諫鼓] ~ 간과만촉[干戈蠻觸] 4855
4819 감공[甘公] ~ 감군은[感君恩] 4854
4818 가빈감환졸[家貧甘宦拙] ~ 가생[賈生] 4853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