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원백[壯元柏] ~ 장원정[長源亭] ~ 장위위[張衛尉]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584  

장원백[壯元柏] 성균관(成均館) 서쪽 뜰에 있던 잣나무. 과거(科擧)를 앞둔 어느날 세종(世宗)의 꿈에 한 마리의 용()이 그 나무에 사려 있는 것을 보고 이상히 여긴 끝에 궁노(宮奴)를 시켜 그 곳에 가보게 하였더니 어느 선비가 전대를 베개 삼아 잣나무 가지에다 발을 걸친 채 자고 있었는데 그 후 과거를 치르고 방()을 부를 때 장원(壯元)을 한 최항(崔恒)의 얼굴이 바로 그 얼굴이었으므로 그때부터 그 잣나무를 장원백(壯元柏)이라 불렀다.

장원수[張元帥] 장만(張晩)을 가리킨다.

장원정[長源亭] 고려 문종(文宗) 10(1056)에 창건한 이궁(離宮). 현 개풍군(開豊郡) 광덕면(光德面) 유정동(柳井洞) 영좌산(領座山) 남록(南麓)에 유지(遺址)가 있다. 고려 역대의 왕이 자주 그곳에 유행(遊幸)하였다.

장원홍[壯元紅] 자말리(紫茉莉)의 이명(異名).

장월[杖鉞] 큰 도끼를 짚음, 또는 큰 도끼를 가짐. 곧 병권(兵權)을 장악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장월회황도[杖鉞恢皇圖] 황도(皇圖)는 제왕(帝王)이 통치하는 판도(版圖)이니, 곧 장군이 부월(鈇鉞)을 잡고 싸움터에 나가 국토를 넓힌 것을 말한다.

장위례[杖尉禮] 매 때린 수고에 대해 위로하는 예. 공형(公兄) 즉 호장(戶長), 이방(吏房) 등이 수령에게 장()을 맞으면 그 본청(本廳)에서 수령에게 대향(大饗)을 올렸는데 이를 장위례라 하였다.

장위위[張衛尉] 한 고조 때 태중대부(太中大夫), 조우(趙禹)와 함께 율령을 제정했던 장탕(張湯)을 가리킨다. 위위(衛尉)는 진() 나라 때 궁중의 수비를 담당하는 벼슬 이름인데, 한 나라 때 중대부령(中大夫令)으로 바꿨다가 도로 환원하였다. 장탕은 나중에 정위(廷衛)와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어 옥사를 엄하게 다스리고 국가에서 염철(鹽鐵)을 전매하도록 건의하여 장사꾼의 이익 독점을 제한하는 등, 법을 올바르게 집행하였으나 결국 주매신(朱買臣) 등에게 몰려 자살하고 말았다.

 

 



번호 제     목 조회
5081 숙수[菽水] ~ 숙식[熟食] 5208
5080 진양사[秦良死] ~ 진여[眞如] ~ 진영탁[塵纓濯] 5208
5079 죽각[竹閣] ~ 죽계육일[竹溪六逸] ~ 죽고[粥鼓] 5207
5078 십주삼도[十洲三島] ~ 십팔공[十八公] 5202
5077 향안[香案] ~ 향원덕지적[鄕愿德之賊] 5201
5076 각자도생[各自圖生] ~ 각자이위대장[各自以爲大將] 5200
5075 갈건[葛巾] ~ 갈고최[羯鼓催] 5193
5074 자포자기[自暴自棄] ~ 자포파[紫袍把] ~ 자표지문[赭豹之文] 5191
5073 중산[中山] ~ 중산방만낙양서[中山謗滿樂羊書] ~ 중산참방[中山讒謗] 5191
5072 손동조율[孫桐祖栗] ~ 손랑장하아[孫郞帳下兒] 5190
5071 옥수지란[玉樹芝蘭] ~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 옥순반[玉筍班] 5190
5070 장절염황백안희[仗節炎荒白鴈稀] ~ 장접[莊蝶] ~ 장정[長亭] 519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