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재[長齋] ~ 장재명[張載銘] ~ 장적[張籍]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545  

장재[長齋] 불가(佛家)에서 일생 동안 율행(律行)을 정진하며 낮 한 때만 식사를 하고 오후에는 음식을 취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장재[長齋] 불가(佛家)에서 한낮이 넘도록 굶는 것을 재()라 하고, 그것을 반복하는 것을 장재(長齋)라고 한다. <般舟三昩經>

장재명[張載銘] 서진(西晉)의 장재(張載)가 촉군 태수(蜀郡太守)로 부임하는 부친을 따라갔다가 험준한 산세를 보고 검각명(劍閣銘)’을 지었는데, 세조(世祖)가 이를 보고서 감탄한 나머지 비석에 새겨서 그곳에 세우도록 한 고사가 전한다. <文選 卷56 劍閣銘>

장저[長沮] 공자가 섭() 땅을 지나 채나라로 가다가 밭을 갈고 있던 은자 장저와 걸익을 만나 자로를 시켜 강을 건너는 나루터를 물어보게 했다. 두 사람은 자로에게 혼란한 세상을 바꾸고자 헛된 노력을 하고 있는 공자를 떠나 자기들과 같이 세상에 숨어 농사나 짓고 살자고 권유했다.

장저걸닉[長沮桀溺] 공자(孔子)와 동 시대에 살았던 춘추 시대 초() 나라의 은자(隱者)들로서, 논어(論語) 미자(微子)에 자로(子路)에게 자기들의 생활 방식을 따르라고 권하면서 계속 농사일을 했던 고사가 전한다.

장저업[長沮業] 장저는 춘추시대의 은자이다. 논어(論語) 미자(微子)장저와 걸익(桀溺)이 나란히 짝을 지어 밭갈이를 하였다.”라고 한데서 나온 것으로, 세상을 피해 은거하는 것을 말한다.

장적[張籍] 장적은 당() 나라 때의 문장가인데, 한유(韓愈)가 일찍이 장적을 대신하여 이 중승(李中丞)에게 준 편지에 지금 세상 사람들은 모두가 마음이 깜깜하지만[盲心], ()의 경우는 스스로 유독 눈만 깜깜하다고[盲目] 할 뿐이요, 그 마음은 시비(是非)를 능히 분별한다.”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637 장진응참양졸구[張陣應慚養卒口] ~ 장진주[將進酒] ~ 장차공[張次公] 5384
4636 장중울[張仲蔚] ~ 장지[張摯] ~ 장지화[張志和] 5670
4635 장주[掌珠] ~ 장주류생주[莊周柳生肘] ~ 장주지몽[莊周之夢] 5585
4634 장정위[張廷尉] ~ 장조염승명려[莊助厭承明廬] ~장족자율사[將哫訾栗斯] 5010
4633 장절염황백안희[仗節炎荒白鴈稀] ~ 장접[莊蝶] ~ 장정[長亭] 5192
4632 장전[張顚] ~ 장전선[張錢選] ~ 장전익[章全益] 4943
4631 장재[長齋] ~ 장재명[張載銘] ~ 장적[張籍] 5546
4630 장작[張鷟] ~ 장작청전[張鷟靑錢] ~ 장장[丈丈] 5587
4629 장인항[丈人行] ~ 장자만등[長者萬燈] ~ 장자아[長者兒] 5911
4628 장인사길연희효[丈人師吉演羲爻] ~ 장인유옹불수기[丈人有甕不須機] ~ 장인포옹[丈人抱瓮] 5331
4627 장읍평원군[長揖平原君] ~ 장의[張儀] ~ 장이, 진여[張耳, 陳餘] 6065
4626 장유입한광대양[長孺入漢光大梁] ~ 장유타여[長孺墮輿] ~ 장윤[張允] 5569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