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지소적[枝掃迹] ~ 지시긍균고[知時矜菌蛄] ~ 지어지앙[池魚之殃]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59  

지소적[枝掃迹] 공치규(孔稚圭)가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혹은 나뭇가지를 날려 수레를 부수기도 하고 혹은 나뭇가지를 낮게 드리워 속인(俗人)의 자취를 쓸어버린다.[或飛柯以折輪 或低枝而掃迹]”는 내용이 있다.

지수[祗樹] 지수는 불가의 말로 지수급고독원(祗樹給孤獨園)의 약칭인데 이 동산의 정사(精舍)에서 부처가 설법(說法)하였다.

지수[芝髓] 지초(芝草)의 골수를 이름.

지시긍균고[知時矜菌蛄] 하잘것없는 존재들은 무슨 물정을 알지 못한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아침에 난 버섯은 초하루 그믐을 알 수 없고, 씽씽 매미는 봄·가을을 알 도리가 없는 것이다.” 하였다.

지심돈교[指心頓敎] 지심의 교()는 선종(禪宗)에서 말하는 돈오법(頓悟法)을 가리킨다.

지아포[知我鮑] 춘추 때 제()의 관중(管仲)이 그를 알아주는 지극한 벗 포숙아(鮑叔牙)에게 이른 말. “나를 낳은 이는 부모어니와, 나를 알아 준 이는 포숙이다.” 하였다.

지어[知魚] 장자(莊子)와 혜자(惠子)가 호량(濠梁)에서 노닐 적에 물속에 고기가 노는 것을 보다가 장자가 물고기가 매우 즐겁구나.” 하니, 혜자가 말하기를 자네가 고기가 아닌데 어떻게 고기의 낙을 안단 말인가?”하니, 장자가 대답하기를 자네는 내가 아닌데 어떻게 내가 고기의 낙을 모를 줄을 아는가?”한 데서 온 말이다. <莊子 秋水>

지어구[志於彀] 맹자(孟子) 고자 상편(告子上篇)남에게 활쏘기를 가르치는 사람은 반드시 구()에도 뜻을 두나니, 배우는 사람도 또한 반드시 구()에다 뜻을 두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지어지앙[池魚之殃] 연못의 물고기에게 닥친 재앙. 성에 불이나 성 밖에 있는 연못의 물로 불을 끄느라고 연못의 물이 다 없어져 물고기가 죽게 된 고사에서 비롯된 말. 죄도 없고 아무 관계도 없는데 재앙이 닥치는 것을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749 월지심[月指尋] ~ 월지요령[月氏要領] ~ 월처시지진[刖處始知眞] 4640
748 용철고비[勇撤皐比] ~ 용촌학사[榕村學士] ~ 용출부모[湧出父母] 4641
747 사마사[司馬師] ~ 사마온공[司馬溫公] 4642
746 고근[孤根] ~ 고기직설[皐夔稷契] 4642
745 착벽인광[鑿壁引光] ~ 착색산[着色山] 4643
744 맥상[陌上] ~ 맥상화곡[陌上花曲] 4645
743 취미[翠微] ~ 취법어상근득중[取法於上僅得中] 4645
742 해추[海鰌] ~ 해탈[解脫] 4645
741 쌍리[雙鯉] ~ 쌍미[雙美] 4647
740 좌은[坐隱] ~ 좌접래의채[座接萊衣彩] 4649
739 허격[許格] ~ 허뢰[虛籟] 4649
738 자개축융[紫蓋祝融] ~ 자검[紫劍] ~ 자격지심[自激之心] 4649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