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채석이백명[采石李白名] ~ 채석주중금[采石舟中錦] ~ 채수[綵樹]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376  

채석[采石] 이태백이 채석기(采石磯)에서 술에 취해 뱃놀이하다가 물에 비친 달을 건지려다 물에 빠져 죽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채석이백명[采石李白名] 이태백이 채석기(采石磯)에서 배를 타고 놀다가 물에 비친 달을 건지려고 취중에 물로 뛰어들었다가 익사했는데, 그 뒤에 고래를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고 한다.

채석적선[采石謫仙] 이적선(李謫仙) 즉 이태백(李太白)을 말한다. 채석기(采石磯)에서 술에 취해 뱃놀이하다가 물에 비친 달을 건지려다 물에 빠져 죽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채석전광[采石顚狂] 이백(李白)이 채석강(采石江)에서 농월(弄月)한 고사를 말한다.

채석주중금[采石舟中錦] 의상만은 현실을 초월한 낭만이 있다는 뜻. 이백(李白)이 채석기(采石磯)에서 밤에 비단 장포(長袍)를 입고 낚싯배에 앉아 뱃놀이를 즐기다가 물에 빠졌다고 한다. 매요신(梅堯臣)의 시에 채석강 달빛 아래 적선을 찾았더니, 비단 장포 밤에 입고 낚싯배에 앉아 있네.[采石月下訪謫仙 夜披錦袍坐釣船]”하였다.

채수[債帥] 뇌물을 바치고 장수가 된 사람을 기롱하여 이르는 말이다.

채수[債帥] 뇌물을 받고 벼슬을 알선해 주는 권요자(權要者)를 가리키는 말이다.

채수[綵樹] 채수는 채화수(綵花樹)와 같은 말로, 즉 조화(造花)를 이르는데, 당 중종(唐中宗) 때 입춘일(立春日)이면 시신(侍臣)들에게 봄맞이를 하게하고, 대궐에서 채화수를 내다가 한 사람에 한 가지씩 하사했다고 한다.

채숙[蔡叔] 주 무왕(周武王)의 아우. 희도(姬度)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889 답가[踏歌] ~ 답렵[踏獵] ~ 답습[踏襲] 2160
4888 호시석노[楛矢石砮]~호시원[弧矢願]~호시지[弧矢志]~호시탐탐[虎視眈眈] 2161
4887 천리보불식[天理報不食] ~ 천리족[千里足] ~ 천마구[天馬駒] 2162
4886 토진간담[吐盡肝膽]~토찬[吐餐]~토탈[兎脫]~토포악발[吐哺握髮] 2163
4885 무릉생추초[茂陵生秋草] ~ 무릉선촌[武陵仙村] ~ 무릉소갈객[茂陵消渴客] 2166
4884 채익[彩鷁] ~ 채주소역[蔡疇邵易] ~ 채중랑[蔡中郞] 2166
4883 의금사귀[衣錦思歸] ~ 의금상경[衣錦尙絅] ~ 의기[欹器] 2168
4882 기해[祁奚] ~ 기현[夔蚿] ~ 기현국[夔玄國] 2171
4881 명용계의[明用稽疑] ~ 명운종수[命隕從獸] ~ 명원루[明遠樓] 2172
4880 부마[駙馬] ~ 부미금[付美錦] ~ 부민가[阜民歌] 2172
4879 비비[悱悱] ~ 비비낙설[霏霏落屑] ~ 비비유지[比比有之] 2176
4878 삼호[三號] ~ 삼호[參乎] ~ 삼호가보[三戶可報] 2178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